일요일인 18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피서객이 물놀이하거나 파라솔 아래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9일부터 2주 동안 비수도권 전 지역에서 사적모임 인원을 4명까지만 허용하기로 한 것은 수도권 확진자 급증에 따른 비수도권으로의 풍선 효과와 휴가철 이동량 증가를 우려해서다. 4차 유행이 시작되고 비수도권 신규 확진자 비중이 전체의 30%를 넘어서는 등 유행은 점점 전국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가 1454명이라고 밝혔다. 지난 7일 1212명이 발생한 뒤 연속 12일 네 자릿수로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날 신규 확진자 가운데 국내 지역사회 환자는 1402명으로, 수도권 확진자는 969명(69.4%)이고 비수도권 확진자는 443명(31.6%)이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한주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대해 “수도권의 유행이 계속되는 가운데 비수도권도 뚜렷한 증가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수도권의 경우 지난 한주(12∼18일) 하루 평균 환자 수는 990명으로 직전주보다 140.6명 늘었다. 그런데 같은 시기 비수도권은 하루 평균 376명으로 직전주보다 155명 증가했다. 비수도권 환자 증가 폭이 수도권보다 컸던 셈이다.
특히 경남권과 충청권에서 많은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경남권의 경우 최근 1주일(12∼18일) 하루 평균 확진자 수가 142.4명으로 가장 많다. 직전주 하루 평균은 79.3명이었어서 증가 속도도 상당히 빠르다. 충청권 역시 1주일 하루 평균 100명이 확진돼, 직전주 하루 평균 70.3명에 견줘 보면 확산세가 분명하다. 이밖에 경북권은 같은 기간 20.7명에서 52.3명으로, 호남권은 21.4명에서 40.4명으로, 강원 14명에서 28.3명으로 늘었다. 제주는 15.4명에서 12.9명으로 줄었지만, 4차 유행 이전에는 하루 확진자가 통상 5명 미만이었던 터라 위기감이 커진 상황이다.
이날 중대본이 비수도권 전체의 사적모임 인원을 4명까지로 제한하면서 대다수 지역에서 사적모임 가능 인원은 대폭 축소된다. 이날까지는 부산, 경남, 대구, 경북, 충남, 광주, 경남, 전북, 강원, 전남 등 대부분 지역이 8명까지 모일 수 있었고, 울산과 전남은 6명까지 모일 수 있었다. 다만 대전, 세종, 충북과 충남의 천안·아산은 이미 4명까지만 모일 수 있었다.
비수도권 환자 증가폭에 대한 우려가 큰 또 다른 이유는, 비수도권은 상대적으로 수도권보다 병상과 의료진 등 의료자원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최근 코로나19 감염은 아직 예방접종을 받지 못한 20∼50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만큼, 무증상‧경증 환자들이 입원하는 생활치료센터가 특히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전국 생활치료센터 53개소의 평균 가동률은 66.4%다. 충청권의 경우 가동률은 92.3%로, 앞으로 입소할 수 있는 환자 수는 13명뿐이다. 경북권(82.5%)과 경남권(76.7%) 생활치료센터의 가동률도 전국 평균을 웃돈다. 이런 지역에서 하루 두 자릿수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증가세가 이어진다면, 현재 확보해놓은 생활치료센터는 곧 포화할 전망이다.
수도권의 경우는 이전보다 다소 여유가 있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이 수도권 생활치료센터 확보에 나서며 이날 0시 기준 수도권 지역 생활치료센터 42개소의 가동률은 67.3%까지 낮아졌다. 추가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은 3401명이다.
서혜미 최하얀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