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기준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오이시디) 20개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항성제 내성균으로부터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2025년까지 인체 항생제 사용량과 비인체(축·수산 분야) 항생제 판매량을 지금보다 각각 20%, 10% 낮추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제2차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와 감염병 관리위원회 의결을 거쳐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했다고 7일 밝혔다.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현재 26.1디아이디(DID·인구 1천명당 1일 항생제 소비량)에서 2025년 20.9디아이디로 20% 줄이고, 비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1년 동안 가축 1㎏(PCU·피씨유)당 217㎎에서 2025년 195㎎으로 10% 감축하는 게 목표다.
보건복지부의 설명을 보면, 2019년 기준 국내 인체 항생제 사용량은 26.1디아이디로 오이시디 29개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는 9.5디아이디, 핀란드는 14.7디아이디, 이탈리아는 21.7디아이디 등을 나타냈다. 아울러 2017년 사이언스에 따르면, 한국의 축산물생산량 반영 항생제 사용량은 피씨유당 188㎎으로 일본(78㎎), 덴마크(28㎎) 등 주요 국가에 견줘 2.4~6.7배 수준이다.
항생제는 감염병 치료제로, 항생제에 듣지 않는 내성균이 출현해 확산하면 국민 건강이 위협이 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분리된 세균 가운데 해당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의 비율을 일컫는 항생제 내성률도 증가 추세인데,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내성률은 2017년 34%에서 2019년 40.9%로 늘었고,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은 2010년 국내 첫 보고 이후 건수가 급증해 2020년 1만8904건이 발생했다. 무엇보다 요양병원의 주요 항생제 내성률이 종합병원과 견줘 유의미하게 높았다. 축산 분야의 경우에는 돼지와 닭 등 항생제 과다 사용 가축에서 항생제 내성률이 선진국에 견줘 높았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