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감소 등 재정 힘들어도
병원 설립·확장해 자활 안간힘
주민 ‘건강 파수꾼’ 역할 톡톡
병원 설립·확장해 자활 안간힘
주민 ‘건강 파수꾼’ 역할 톡톡
인구 감소 등으로 재정 여건이 좋지 않은 시·군들이 적자가 불가피한데도 공공병원을 직접 운영하거나 설립하며 지역 주민들의 건강 파수꾼 기능을 더욱 굳히고 있다. 인구 34만명의 경남 진주시에 설립된 진주의료원을 경남도가 설립 103년 만에 폐업을 추진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인구 24만명인 전남 목포시는 1904년 설립된 목포시립의료원을 110년째 운영하며 지역 주민의 건강을 지키고 있다. 목포시립의료원은 신안·함평 등 전남 서남권의 8개 시·군에 산부인과가 없어 생기는 진료공백을 메꾸기 위해 화~목요일 산부인과 전문의가 차량을 타고 농어촌의 젊은 새댁들을 상담하고 진료해주고 있다. 특히 2011년과 지난해 6억여원의 적자를 내는 등 해마다 적자를 내고는 있지만, 5년 전부터 219억원을 들여 본관(지상 5층, 지하 1층, 연면적 1만5941㎡)과 재활요양병동 증축 등에 나서고 있다.
인구 5만여명의 경북 울진군은 2003년 3월에 군립의료원을 개원했다. 시골이어서 어르신들이 많이 사는 지역 특성을 고려해 입원실 병상을 90개에서 130개로 40개 더 늘렸다. 울진군은 지난 10년 동안 군립의료원의 누적적자가 163억원에 이르지만 해마다 20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연평균 3만7000여명이 입원하고 외래환자가 연간 8만명을 넘기 때문이다.
인구가 2만7000여명인 전북 진안군은 지난해 1월부터 2만1717㎡에 지하 1층, 지상 4층, 80병상 규모의 의료원을 짓고 있다. 진안군은 올해 12월 내과·일반외과·정형외과·응급의학과·재활의학과·산부인과 등 6개 과의 진료를 시작할 예정이다.
2008년 지역 유일의 종합병원이 만성적자에 문을 닫자 군의회가 의료원 건립에 반대했지만, 진안군은 ‘공공의료가 꼭 필요하다’며 병원을 운영할 사업자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의료원을 가동할 방침이다.
목포 대구 전주/안관옥 구대선 박임근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종합] 보스턴 폭탄 테러 사건, 용의자 전원 체포로 종료
■ MB, ‘황제테니스’도 모자라 ‘반값테니스’?
■ 누리꾼, “국정원 은폐 폭로 권은희 지켜라”
■ “안철수가 인물은 인물인데 정치적 입장은…”
■ “오빤 침대 위의 마징가제트야”
■ 홍준표 지사, 휴일 관용차로 동창회 가다가 사고
■ [종합] 보스턴 폭탄 테러 사건, 용의자 전원 체포로 종료
■ MB, ‘황제테니스’도 모자라 ‘반값테니스’?
■ 누리꾼, “국정원 은폐 폭로 권은희 지켜라”
■ “안철수가 인물은 인물인데 정치적 입장은…”
■ “오빤 침대 위의 마징가제트야”
■ 홍준표 지사, 휴일 관용차로 동창회 가다가 사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