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감염 문제는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중요하다. 하지만 수익이 중요한 병원으로선 감염에 안전한 장비보다 값싼 기구를 선호할 수밖에 없다. 그만큼 감염예방에 필요한 시설·인력을 갖추는 데 소극적이다. 의료기관 평가인증에 민감한 대형 병원은 그나마 신경을 쓰지만 중소병원은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김홍빈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7일 “외국에선 채혈하거나 정맥주사를 놓을 때 ‘세이프 니들’이라고 의료진이 바늘에 찔리지 않는 도구를 쓰기도 한다. 그런데 값이 비싸다 보니 한국에선 환자한테 큰 영향이 없으면 일반 바늘을 쓴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감염관리에만 별도로 돈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2010년 의료기관 인증평가를 시작하며 감염관리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점검하도록 했다. 그러나 정작 이에 필요한 지원은 하지 않고 점검만 해 현장에선 불만이 많다. 엄중식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예컨대 수술하기 전에 제모가 필요하면 일반 면도기보다 의료용 제모기(클리퍼)를 쓰면 좋은데 4천~5천원 정도 하는 의료용 제모기의 일회용 날은 수가가 책정돼 있지도 않고 비급여라서 환자한테 청구도 못 한다”며 “면도기를 써서 아낀 비용보다 감염에 따른 건강보험 지출이 더 클 것”이라고 짚었다.
특히 중소병원은 감염예방의 사각지대다. 200병상 미만의 의료기관에 대해선 감염예방 인력이나 시설 규정이 의료법에 명시돼 있지 않다. 엄 교수가 질병관리본부 의뢰로 중소병원 감염관리 실태 조사(2011년 12월~2012년 10월)를 해보니, 응답 중소병원 가운데 감염관리 지침을 80% 이상 이행하는 곳이 절반을 밑돌았다. 엄 교수는 “중소병원 의료진은 마스크 하나 쓰는 것도 병원 눈치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조은희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감시과장은 “중소병원은 직접 방문해 감염 교육 등을 하고 있지만 필요하다면 법에 명시해 정식 사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