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이유·금연 과정 서로 다른데
조사·연구 없이 방문상담만 추진
조사·연구 없이 방문상담만 추진
담뱃값 인상 뒤 정부가 금연보조제의 건강보험 적용과 같은 금연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주로 남성한테 초점을 맞춘 것이어서 흡연 행태나 배경 등에서 차이가 나는 여성 흡연자를 사실상 방치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성 흡연율은 실제보다 ‘과소 집계’되는데도 경향적으로 상승 추세다.
1998년부터 시작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실시한 남녀 흡연율 변화 추이를 보면 남성 흡연율은 극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98년 66.3%이던 흡연율은 2013년엔 42.1%까지 낮아졌다. 반면 여성 흡연율은 조사 초기 5~6%대에서 2012년엔 7.9%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가장 최근 조사인 2013년엔 6.2%로 다소 낮아졌다. 이처럼 여성 흡연율은 공식적으론 평균 5~7%대에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실제 흡연율과 차이가 크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관련 연구를 해온 김관욱 가정의학과 전문의는 “소변 검사를 통해 여성 흡연율을 조사했더니 1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흡연에 대한 부정적 시각 탓에 2명 가운데 한명 꼴로 흡연 여부를 사실대로 밝히지 않아서 발생한 것으로 설문 방식을 통한 여성 흡연율 조사 수치가 실제보다 낮을 수 있다”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여성이 흡연을 시작하는 사회적 맥락이나 행태는 물론 금연 과정에서도 남성과 차이를 보이는데도 정부 차원에서 별도의 조사나 연구도 없이 수수방관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김동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여성의 담배 중독 속도가 더 빠르고 호르몬 탓에 금연이 어렵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식 조사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3월 중순부터 여성 흡연자가 많은 콜센터나 백화점 등을 찾아 금연 방문상담 서비스를 하겠다는 계획이지만 효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특히 감정노동에 종사하는 여성의 흡연은 개인 차원의 문제로만 볼 수 없다. 경영자들은 당장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봐 흡연실을 잘 꾸며 놓는데 이런 환경이 여성 흡연을 유발하거나 만성화시키는 주요 경로가 된다. 감정노동 종사자의 경우 흡연이 육체적 고통이나 정신적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구실을 하는 만큼 회사 쪽의 적극적인 도움 없이 정부 상담만으론 흡연률을 줄이기 어렵다.” 김관욱 전문의의 지적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