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사광선 노출땐 유해물질 배출 증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페트병에서 나오는 비스페놀 A등 내분비계 장애추정물질을 조사해보니, 저장기간·온도·햇빛 노출이 증가할수록 용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모두 기준 이하로 검출돼 안전한 수준이라고 16일 밝혔다.
조사 결과 실온(25℃)에서 120일간 보관했을 때, 아세트알데히드는 검출되지 않았고 포름알데히드는 평균 0.05ppm 수준으로 검출됐다.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는 60℃의 햇빛 노출 환경에서 60일간 보관했을 때 평균 0.8ppm과 1.4ppm 검출됐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더 많이 검출되는 셈이다. 내년 1월부터 용출 관리 대상이 되는 포름알데히드와 아세트알데히드의 용출 기준은 각각 4ppm, 6ppm이다. 두 물질은 페트병에 보관된 식품의 냄새에 영향을 끼치며, 지나치게 섭취하면 중독을 일으키는 발암 물질이다. 식약처 관계자는 “페트병에 포장된 식품을 유통하거나 보관할 때에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