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29번째 코로나19 환자가 다녀가 폐쇄된 고대안암병원 응급실 음압격리실에서 16일 보건소 관계자가 방역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도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코로나19 환자가 16일 처음 발견됐다. 국외여행 이력도, 다른 확진자와의 접촉 이력도 없는 환자가 나타나면서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입원 중인 폐렴환자에 대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전수조사를 추진할 방침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2살 한국인 남성이 29번째 코로나19 환자로 확진됐다고 이날 밝혔다. 지난해 12월 이후 국외여행을 다녀오지 않았고 확진환자와의 접촉자로 분류되지도 않았던 환자다. 다만 접촉자로 자가격리를 받고 있어야 하는 상황인데 보건당국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서울 종로구 숭인1동에 사는 이 환자는 동네 의원 2곳을 들른 뒤 관상동맥에 이상이 있다는 소견을 듣고 15일 낮 12시께 고려대 안암병원 응급실을 찾아갔다. 마른기침 말고는 발열·호흡기 증상도 없어 선별진료소는 거치지 않았다. 다만 의료진이 폐렴을 확인하면서, 오후 4시에 음압격리실로 옮겨져 코로나19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후 국가지정 입원치료 병상이 있는 서울대병원으로 16일 새벽 1시30분께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이 환자가 고령이지만 현재 상태는 안정적이라고 중대본은 전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쪽은 29번째 환자가 다녀간 응급실을 폐쇄했다고 이날 밝혔다. 또 환자를 진료한 의료진과 응급실에 있던 환자 등 40여명에 대해 격리 조치가 취해졌다. 정은경 중대본부장은 “고대 안암병원에 가기 전에 개인 의원을 2곳 들렀는데, 진료 여부와 감염력이 있던 시기였는지 등은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어, 외국에 다녀온 이력이 없더라도 의사 소견에 따라 진단검사를 하고 원인불명 폐렴환자들은 국외여행력과 무관하게 검사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정은경 중대본부장은 “현재 병원에 입원 중인 폐렴환자에 대해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조사하는 것도 (향후 대책의) 방향으로 잡고 있다”며 전문가들과 세부 방안에 대해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박수지 박다해 기자
suj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