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의협)의 1차 집단 휴진일이었던 지난 14일 대전 서구 한 동네의원 앞에 휴진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추진 등에 반발해, 26~28일 2차 집단휴진을 예고한 대한의사협회(의협)가 19일 정부와 협상에 나선다. 그동안 의협은 정부의 원안 철회 없이는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주장을 고수해왔으나,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비판 여론이 고조되면서 뒤늦게 정부에 대화를 제안했다.
보건복지부는 박능후 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의협 회장 등이 참석하는 의-정 간담회가 19일 오후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다고 18일 밝혔다. 지난달 23일 정부가 10년간 의대 정원 4천명 증원, 3천명 지역의사제로 선발, 공공의대 설립을 공식 발표한 이후로, 양쪽이 ‘공식 회동’을 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의협은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추진을 ‘4대악 의료정책’으로 규정하고 단체행동을 이어왔다. 지난 14일엔 개원의를 중심으로 집단휴진을 한차례 했고, 그에 앞서 지난 7일에는 인턴·레지던트 등으로 구성된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일손을 놓았었다.
반발하는 의료계에 정부는 ‘의료발전협의체’에서 대화를 통해 공통분모를 찾아보자고 여러 차례 제안했지만 지금껏 성사되지 않았다. 의협 등은 정부가 원안을 철회할 의사가 없다며 26~28일 2차 집단휴진과 21일부터 전공의 무기한 업무 중단마저 선언해 놓은 상태다. 그러나 이날 오전 의협은 복지부에 공문을 보내 긴급 간담회를 제안했다. 김대하 의협 홍보이사 겸 대변인은 “정책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전제를 하지 말고 가능성을 열어놓고 만나보자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의협은 대화와 투쟁을 병행하겠다는 태도다. 2차 집단휴진과 전공의 무기한 업무중단 계획이 유보되지는 않았다. 의협 쪽은 교수와 전공의, 개원의, 봉직의 등 의사 전 직역이 함께 참여하는 ‘범의료계 4대악 저지투쟁 특별위원회’ 구성을 준비 중이라고도 밝혔다. 정부도 원칙적 입장은 그대로다. 김강립 복지부 차관은 “지역의료 공백 내지는 부족, 필수 진료과목 부족, 미래 의·과학 국가적 수요 충족이란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전제로 다양한 방안을 놓고 함께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