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집단 감염으로 동일집단(코호트) 격리 중인 전남 화순군의 한 요양병원에서 연쇄 감염을 줄이기 위해 격리 환자 일부를 다른 병원으로 이송 조치했다. 전남 화순군 제공/연합뉴스
정부가 중환자 병상과 경증 환자를 위한 병상을 단계적으로 확보하면서 병상 부족 사태는 어느 정도 숨통을 틔웠지만,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채 숨지는 사례는 계속 늘고 있다. 증상이 악화되면 신속히 치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으로 옮겨야 하지만 돌봄 인력 등까지 갖춰져야 하기 때문에 전원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은 탓이다.
실제로 집단감염이 발생한 경기 부천시 효플러스 요양병원에서는 지난 25일 하루 동안에만 사망자가 6명 늘었다. 이 병원은 지난 11일 요양보호사 6명이 최초 확진 판정을 받은 뒤 동일집단격리(코호트 격리)된 상태다. 지금까지 누적 사망자가 32명에 이르며, 이 가운데 25명이 병상 대기 중에 숨졌다. 27일 기준 코호트 격리된 인원은 모두 47명인데, 이 가운데 42명(입소자 28명, 직원 14명)의 확진자가 병상 배정을 받지 못한 상태다.
요양병원 확진자의 전원이 더딘 이유는 다른 확진자와 다르게 기본적인 치료에 더해 추가 돌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소변을 받아내야 하는 등 간병 인력이 별도로 필요한 상황에서 곧바로 전담병상으로 보내기 어렵다는 의미다. 이에 방역당국은 요양병원 환자들 가운데 코로나19 증상이 심하지 않은 환자들은 주로 코호트 격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요양병원에서 급격하게 증상이 악화된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하기엔 한계가 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감염내과)는 “중증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장비도 없고, 격리를 유지할 수 있는 병상과 인력도 부족하기 때문에 병이 진행되고 나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의료진 감염에 따른 인력 부족도 문제다. 부산의 한 요양병원 관계자는 “의사·간호사·간호조무사가 환자를 돌봐야 하는데, 직원이 확진되면 동료들도 자가격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남아 있는 직원의 노동강도가 강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만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숨진 코로나19 사망자는 46명에 달한다. 그런데도 정부는 최근 요양병원 등에서 숨진 경우는 병상 대기 중 사망 사례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의료기관에서 숨진 것이어서 대기 중 사망으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였다. 임승관 경기도 코로나19 긴급대책단 공동단장은 “지난 2∼3월 대구·경북 지역의 1차 유행 당시에도 취약시설에서 취약계층이 사망한 것을 겪은 바 있는데, 열달이 흘렀지만 (여러 명이 밀집해 생활하는) 고위험시설과 고위험군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한편 서울동부구치소 관련 누적 확진자는 27일 기준 528명으로 늘었다. 전날 법무부와 방역당국은 구치소 내 경증 확진자를 경북 청송군에 있는 경북북부 제2교도소로 이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수용자의 격리와 보안 관리가 동시에 필요하기 때문에 별도 교정시설을 생활치료센터처럼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