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조작 윗선 개입 여부 조사
줄기세포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30일 2005년 사이언스 논문 작성 과정에서 줄기세포 팀장을 맡은 서울대 수의대 권대기 연구원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2005년 논문 제5저자인 권 연구원은 줄기세포 팀장을 맡아 난자 운반, 줄기세포 보관 및 반출입 등 관리를 맡았다.
서울대 조사위원회 조사 결과 권씨는 2005년 논문에서 2~3번 세포주는 세포침전물 상태로 4, 5, 6, 7, 8, 10, 11번 세포주는 환자 체세포만 떼어내 미즈메디 병원 소속 김선종 연구원에게 DNA 지문 분석을 맡긴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검찰은 권씨를 상대로 2005년 논문 조작 과정에 윗선의 지시나 개입이 있었는지 집중적으로 캐물은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권씨의 노트북 컴퓨터에서 찾아낸 A4 인쇄용지 400여쪽 분량의 줄기세포 실험노트를 토대로 실험 과정에서 고의적인 조작이 있었는지, 조사위 조사를 앞두고 자신의 노트북 컴퓨터 파일을 왜 삭제했는지 등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권씨 외에 이미 두차례 조사를 받은 유영준ㆍ박을순 연구원 등 사이언스 논문 공저자 4명을 포함한 연구원 6명을 불러 논문 조작 관여 여부를 조사했다.
검찰은 유씨와 박씨를 상대로 2004년 논문에 실린 1번 줄기세포(NT-1)가 단성 (처녀)생식 줄기세포라는 사실을 알고도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인 것처럼 데이터를 조작했는지와 조작 책임자가 누구인지 등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유씨 등 주요 연구진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김선종 연구원과 윤현수 한양대 교수 등 미즈메디측과 강성근 교수 등 서울대측 핵심 공저자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미국에 머물고 있는 박종혁 연구원도 이번 주에 귀국해 검찰 조사를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2004년 논문의 제3저자인 박 연구원은 줄기세포 배양과 사진촬영, DNA 지문분석 등을 담당한 실무자여서 단성생식 줄기세포의 DNA가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의 DNA로 조작돼 제출되는 과정에 개입했는지를 조사받을 전망이다. 검찰은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원들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토대로 이날 오후 수사팀 회의를 열어 주요 공저자에 대한 소환 일정을 잡을 예정이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 (서울=연합뉴스)
검찰은 유씨와 박씨를 상대로 2004년 논문에 실린 1번 줄기세포(NT-1)가 단성 (처녀)생식 줄기세포라는 사실을 알고도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인 것처럼 데이터를 조작했는지와 조작 책임자가 누구인지 등을 집중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유씨 등 주요 연구진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는 대로 김선종 연구원과 윤현수 한양대 교수 등 미즈메디측과 강성근 교수 등 서울대측 핵심 공저자들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 관계자는 "미국에 머물고 있는 박종혁 연구원도 이번 주에 귀국해 검찰 조사를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2004년 논문의 제3저자인 박 연구원은 줄기세포 배양과 사진촬영, DNA 지문분석 등을 담당한 실무자여서 단성생식 줄기세포의 DNA가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의 DNA로 조작돼 제출되는 과정에 개입했는지를 조사받을 전망이다. 검찰은 지금까지 이뤄진 연구원들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토대로 이날 오후 수사팀 회의를 열어 주요 공저자에 대한 소환 일정을 잡을 예정이다.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