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지도부 총사퇴 가닥
당분간 비대위 체제로
내부갈등 ‘홍역’ 불가피
대정부 투쟁 약화될 듯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집행부가 간부의 조합원 성폭력 사건 및 사건 은폐 의혹에 끝내 ‘총사퇴’하는 쪽으로 기운 것은, 대국민 사과만으로는 비판 여론을 돌리기가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동자의 고통분담 압박, 비정규직법 개정 강행 등 민주노총이 지금 놓인 상황이 시급한 가운데, 현 지도부의 도덕성에 타격을 받고서는 제대로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이 지난 6일 대국민 사과문을 내놓으며 파문 확산을 차단하려 했으나, 이날 새벽 사퇴한 부위원장 4명에 이어 부위원장 한 명이 추가 사퇴하는 등 안팎의 비판 여론을 잠재우지 못했다. 전날 피해자 쪽이 경위를 소상히 공개하며 민주노총의 ‘맹성’(매우 깊이 사과함)을 촉구했는데도, 이날까지도 민주노총 지도부는 명확한 해명을 하지 못했다. 지도부 총사퇴도 논의됐으나, 이 사건이 민주노총 ‘조직 전체의 도덕성’으로 번져서는 안 된다는 우려 등을 내세운 반대론 때문에 지도부가 거취를 두고 의견을 모으지도 못했다. 사건의 불똥은 피해자가 소속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으로도 떨어지고 있다. 피해자 쪽이 민주노총뿐 아니라 전교조 지도부도 “사건이 알려지면 민주노총이 심각한 상처를 받는다”며 회유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내부 게시판 ‘조합원 마당’에는 지도부가 신속하게 이번 사건의 진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내용의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한 전교조 조합원은 “만일 일부 알려진 것처럼 지도부가 피해자를 회유하고 협박했던 정황이 드러난다면 위원장을 포함한 집행부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다”고 전했다. 민주노총 집행부가 총사퇴하게 되면 당분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온건파로 분류됐던 이석행 위원장 지도부가 물러남에 따라 비대위에서는 강경파의 입지가 강화될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따라 비정규직법 등 노동 현안이 쌓여 있는 올 한해 노정 대립이 격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비상 지도부’ 체제로는 산적한 현안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에서, 오는 12월로 예정된 위원장 선거를 앞당기게 될 수도 있다. 피해자는 오는 9일 가해자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지도부가 ‘이석행 위원장을 숨겨 달라고 부탁한 인물’에 대해 피해자에게 거짓 진술을 요구한 점에 대한 수사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내부갈등 ‘홍역’ 불가피
대정부 투쟁 약화될 듯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집행부가 간부의 조합원 성폭력 사건 및 사건 은폐 의혹에 끝내 ‘총사퇴’하는 쪽으로 기운 것은, 대국민 사과만으로는 비판 여론을 돌리기가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동자의 고통분담 압박, 비정규직법 개정 강행 등 민주노총이 지금 놓인 상황이 시급한 가운데, 현 지도부의 도덕성에 타격을 받고서는 제대로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이 지난 6일 대국민 사과문을 내놓으며 파문 확산을 차단하려 했으나, 이날 새벽 사퇴한 부위원장 4명에 이어 부위원장 한 명이 추가 사퇴하는 등 안팎의 비판 여론을 잠재우지 못했다. 전날 피해자 쪽이 경위를 소상히 공개하며 민주노총의 ‘맹성’(매우 깊이 사과함)을 촉구했는데도, 이날까지도 민주노총 지도부는 명확한 해명을 하지 못했다. 지도부 총사퇴도 논의됐으나, 이 사건이 민주노총 ‘조직 전체의 도덕성’으로 번져서는 안 된다는 우려 등을 내세운 반대론 때문에 지도부가 거취를 두고 의견을 모으지도 못했다. 사건의 불똥은 피해자가 소속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으로도 떨어지고 있다. 피해자 쪽이 민주노총뿐 아니라 전교조 지도부도 “사건이 알려지면 민주노총이 심각한 상처를 받는다”며 회유했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내부 게시판 ‘조합원 마당’에는 지도부가 신속하게 이번 사건의 진상을 공개해야 한다는 내용의 글들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한 전교조 조합원은 “만일 일부 알려진 것처럼 지도부가 피해자를 회유하고 협박했던 정황이 드러난다면 위원장을 포함한 집행부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많다”고 전했다. 민주노총 집행부가 총사퇴하게 되면 당분간 ‘비상대책위원회’ 체제가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온건파로 분류됐던 이석행 위원장 지도부가 물러남에 따라 비대위에서는 강경파의 입지가 강화될 것으로 점쳐진다. 이에 따라 비정규직법 등 노동 현안이 쌓여 있는 올 한해 노정 대립이 격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비상 지도부’ 체제로는 산적한 현안에 제대로 대처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에서, 오는 12월로 예정된 위원장 선거를 앞당기게 될 수도 있다. 피해자는 오는 9일 가해자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지도부가 ‘이석행 위원장을 숨겨 달라고 부탁한 인물’에 대해 피해자에게 거짓 진술을 요구한 점에 대한 수사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