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태 공동관리인(왼쪽 둘째)과 한상균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오른쪽 둘째) 등 쌍용차 노사가 30일 오전 경기 평택 칠괴동 평택공장 내 컨테이너 안에서 협상을 벌이고 있다.쌍용자동차 제공
농성자 전원 무급휴직해도 추가비용 72억 불과
사쪽 “인력 모두 떠안으면 제3 투자자 안나설것”
사쪽 “인력 모두 떠안으면 제3 투자자 안나설것”
쌍용자동차 노사는 31일 새벽까지 회의 속개와 휴회를 거듭했다. 그만큼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는 뜻이다. 노조는 핵심 쟁점이던 정리해고를 일부 수용하기로 했지만, 그 범위를 놓고서는 회사 쪽과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였다. 노조원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 형사고발 문제에 대해서도 양쪽은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사는 세부 교섭안이 무엇인지 외부에 알리지 않은 채 비공개 협상을 이어갔다.
회사 쪽은 지난달 26일 제안한 최종안의 희망퇴직 450명, 분사·영업직 전환 320명, 무급휴직 및 우선 재고용 200명에서 무급휴직을 최대 40%인 400명선까지 늘릴 뜻이 있음을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노조는 개인 선택을 전제로 희망퇴직과 사실상 정리해고에 해당하는 분사·영업직 전환을 수용하고, 무급휴직 희망자는 숫자에 관계없이 받아줄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회사는 명예퇴직이나 영업직 전환 숫자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맞서 입장차를 좁히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사실 무급휴직 숫자가 늘어난다고 해서 추가 비용이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정부 관계자는 “농성에 가담했던 976명 전원이 무급휴직하더라도 4대 보험료 등 연간 추가 비용은 72억원 정도”라며 “비용 문제는 마이너한 문제”라고 말했다. 단순히 비용이 추가로 들어간다는 차원을 넘어선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회사의 장기 생존전략에 대한 노사의 시각차와 맞물려 있어 보인다.
회사는 격변하는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쌍용차가 살아남으려면 구조조정을 빨리 끝내고 제3의 투자자를 찾는 길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법원의 회생절차 개시 승인도 인적 구조조정 등을 전제로 했다고 한다. 박영태 공동관리인은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쌍용차가 생산을 재개하더라도 계속 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C200 생산 인원을 포함해 대기인력이 760명이나 되는데 거기에 970명을 더 끌어안으면 언제 쓸지 모르는 인력이 1730명이나 된다”며 “어떤 투자자가 이런 부담을 떠안겠는가”라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노조는 무급휴직 확대를 통한 비용 절감에 협조한 뒤 산업은행의 자금 지원 등을 통한 생존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여기에 노사 모두 현실적인 고민이 있다. 총고용 보장을 요구해온 노조로서는 정리해고를 일부 받아들이는 대신 그에 걸맞은 명분을 찾아야 한다. 사내 강경파나 사회 일부에서 제기하는 형평성 문제는 회사 쪽의 고민거리다. 회사가 재고용을 할 시기가 되면 기존 희망퇴직자 1600여명과 동일 비율로 동시에 실시하겠다고 끝까지 강조하는 이유다. 회사 쪽 관계자는 “그동안 노사가 서로 적당히 덮으면서 원칙대로 해결하지 못해 이 사태까지 이르렀다”며 “노사관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고위 관계자도 “무급휴직자는 노조원 신분을 유지하게 되는데, 강경파들이 계속 결정권을 가지면 새 주인을 찾을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하지만 협상 진척에 따라 접점을 찾을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다. 30일 협상에 앞서 박영태 공동관리인은 “서로의 고집만 내세워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했고, 한상균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도 “생존이 어렵다는 것은 노사 모두 공감한다”고 말했다.
김영희 기자, 평택/홍용덕 기자 do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