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위성 모두 대부분 프로그램 재탕
가입자 급속 이탈
“콘텐츠 늘려야 하는데 막대한 투자비 부담”
가입자 급속 이탈
“콘텐츠 늘려야 하는데 막대한 투자비 부담”
“지상파나 케이블에서 봤던 비슷한 방송을 다시 보는 기분이다.”
“대부분 20대 위주 연예오락물이어서 40대는 볼 게 없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이 지난 6월 위성과 지상파 디엠비(DMB)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디엠비 도입 초기 이용 행태와 편성 분석’을 조사했더니, 이런 불만들이 쏟아져 나왔다. 한마디로 볼 만한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이다. 불만은 바로 가입자 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해 5월 본방송을 시작한 위성 디엠비의 경우 한달 신규 가입자 수가 지난 5월 7만4천명으로 꼭짓점을 찍은 뒤 내리막길을 걸어, 8월엔 1만2천명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본방송을 시작한 지상파 디엠비 역시 7월부터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지상파 디엠비는 지상파방송 프로그램들을 시간대를 바꿔 ‘재탕’하고 있다. 디엠비에서만 방송하는 프로그램이 에스비에스는 <디엠비 문화아카데미> 등 6개, 문화방송은 <내 손안의 책> 등 4개 정도이고, 한국방송은 <생방송 퀴즈쇼 한반도 오엑스>가 유일하다. 에스비에스 멀티미디어팀 김형욱 차장은 “디엠비폰의 특성을 살려 시청자들이 보내는 휴대폰 문자를 바로 방송에 반영할 수 있는 쌍방향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싶지만, 인력이나 제작비가 부족한 상태”라고 토로했다.
티유미디어가 운영하는 위성 디엠비도 지상파 디엠비와 별반 다르지 않다. 위성 디엠비는 지상파 디엠비보다 10개 채널을 더 운영하고 있지만, 채널 블루와 드라마, 영화 채널을 제외한 대부분이 위성·케이블의 프로그램을 재방송해 차별성을 찾기 힘들다. 그나마 채널 블루에서 1~30분 길이의 <포켓 드라마>, 종이만화 <무빙 카툰> 등 디엠비 전용 프로그램 30여를 선보였지만, 현재는 5개로 대폭 축소했다.
티유미디어 콘텐츠2팀 김영 팀장은 “가입자 200만명이 손익분기점인데 현재 71만여명이어서, 막대한 콘텐츠 투자비를 들여 자체 제작물을 늘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디엠비 시장은 ‘양질의 콘텐츠 부족→가입자 외면→투자 위축’의 악순환이 쉽게 해소되기 어렵다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무료인 지상파 디엠비는 수익원이 광고료뿐인데, 가입자가 애초 예상만큼 늘지 않다 보니 광고가 붙지 않고 있다. 위성 디엠비는 유료이지만, 지상파를 볼 수 없다는 이유로 가입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현대원 교수는 “디엠비는 우리의 원천기술이다. 단말기와 콘텐츠 수출로 높은 경제적 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다. 앞으로 각광받을 뉴미디어 산업의 침체를 막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이만제 책임연구원도 “양질의 디엠비 콘텐츠들이 개발·제작할 수 있도록 산학연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모바일 콘텐츠 인큐베이션센터’ 설립 등 디엠비 시장 활성화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제안했다.
허윤희 기자 yhher@hani.co.kr
허윤희 기자 yhhe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