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방침과 관련해 중앙 부처 공무원들은 “구체적인 방안을 아직 전달받지 못해 말하기가 조심스럽다”고 전제하면서도, 대체로 “정부와 언론이 단절되면 국민에게 정부 정책을 정확히 전달하는 일이 어려워지지 않겠느냐”는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재정경제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기자실을 없애면 공무원들도 불편해진다. 정책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매일 기자들에게 밥을 살 수도 없고, 정권 말기에 뭐하러 자꾸 이런 일을 하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노동부의 정책홍보관리관실 공무원도 “홍보 활동이 더 어려워지는 등 앞으로 우리도 많이 불편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교통부의 한 관계자는 “단순 브리핑보다는 배경 설명이 더 중요한데, 통합 브리핑실만 운영되고 부처별 기자실이 없어진다면 정책 이해도를 높이려고 기자들과 소통하는 데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보통신부의 한 서기관은 “기자실이 없어져 기자들이 기업이나 국회, 시민단체에만 간다면 그쪽 얘기에 귀 기울이게 되고 결국 정보 소통이 왜곡될 수 있다”고 걱정했다.
기자실 통폐합이 현실을 무시한 탁상공론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산업자원부의 국장급 공무원은 “정부와 언론의 관계 역시 국민들의 의식 수준, 다시 말해 국민들이 소통하는 방식을 뛰어넘을 수는 없는데도, 일부분만 떼어 영미식으로 또는 구미식으로 가는 것은 단절이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기획예산처 관계자도 “무리하게 밀어붙일 필요까지 있을까 하는 생각히 든다”며 “신중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미 참여정부 들어 기자실과 취재 시스템이 이전보다 많이 개선됐다는 평가도 있다. 산자부의 다른 공무원은 “현재 정도의 취재 방식이라면 예전보다 많이 개선된 것이고, 기자와 공무원 사이에서도 서로 지킬 것은 지키고 있다”고 전했다. 이 공무원은 “참여정부가 출범한 이후 나름대로 개선이 많이 됐고 권언유착 같은 것도 사라졌는데, 또다시 이벤트식으로 크게 흔드는 것이 좋은 일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기자실 통폐합이 정부와 언론 사이에 불필요한 갈등만 키우고 결국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통부의 한 관계자는 “솔직히 국정홍보처에서 왜 이걸 밀어붙이려고 하는지 답답하다. 정권이 바뀌어도 기자실 폐지가 유지될지 의심스럽다. 결국 기자실 기자재를 당분간 창고에 보관해둬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 중앙부처 공무원도 “쓸데없이 전선만 확대될 것 같다. 그동안의 언론개혁도 일선 기자들과 필요 없는 적대 관계를 만들고 감정싸움을 한 측면이 있다. 기자들을 한통속으로 만들어 집단 반발을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산자부의 다른 국장급 공무원은 “지난번에 각 부처에 따로 있는 기자실을 통폐합했을 때도 걱정이 많았지만, 실제로 바꿔놓고 보니 그렇게 불편하지는 않았다”며 “이번에 통합하는 것에 대해서도 너무 큰 걱정 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복지부의 한 국장도 “현재의 브리핑 제도를 더 잘 이용하면 정부의 정보 공개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지금도 취재 방식이 거의 전화선과 인터넷으로 이뤄지고 있는 만큼 기자들의 취재에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우성 김재섭 송창석 김양중 황보연 기자 morge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