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규 <한국방송>(KBS) 사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신관 국제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신료 인상을 통해 공정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힌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김 사장 “공정성 강화할것”
시민단체 “대국민 사기극”
시민단체 “대국민 사기극”
보도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진 <한국방송>(KBS) 이사회의 수신료 인상 의결을 비판하는 목소리가 크다. 김인규 사장은 22일 “수신료 인상을 통해 공정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으나, 시민사회단체는 “케이비에스가 공영방송 구실을 못하는 게 적은 수신료 때문이냐”며 반발하고 있다.
김 사장은 이날 여의도 한국방송 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재의 낮은 수신료와 광고에 의존하는 재원구조로는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키기 어렵다”며 “수신료를 월 2500원에서 3500원으로 올리면 연간 2092억원의 수입이 늘고 광고 비중은 현재 41%에서 35%로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현 정부 들어 제기돼온 한국방송의 보도 공정성 훼손 우려를 두곤 “그렇게 보는 시각이 있다는 걸 알고 있다”면서도 “공정성은 정의 내리기 어려운 가치로 특정 단체의 목소리는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그게 진실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공정하지 않으면 안 볼 텐데 한국방송 뉴스 시청률이 가장 높은 걸 보면 (공정성이) 상당히 반영된 걸로 볼 수 있다”며 “외부 전문가를 통해 심층적·객관적인 공정성 평가 지표를 개발중에 있으며 독립성 확보를 위해 제도 개선 특별위원회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 사장은 수신료 면제 대상자를 9.9%에서 14.4%로 확대하고, 수신료의 3%인 <교육방송>(EBS) 지원금을 5%로 늘리겠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반면 시민사회단체들의 반응은 차갑기만 하다. ‘한국방송 수신료인상저지 범국민행동’은 이날 한국방송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케이비에스가 공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원인이 권력의 방송장악에 있음은 삼척동자도 알고 있다”며 “멀쩡한 공영방송을 권력의 나팔수로 만들어 놓고 ‘수신료를 올려주면 공정성과 공공성을 확보할 수 있겠다’니 한마디로 대국민 사기극”이라고 비판했다. 미디어행동도 19일 성명을 통해 “낙하산 사장 안착, 양심적인 구성원 징계, 정권홍보방송의 문제들 어느 것 하나 해결된 것이 없다. 인상을 용인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김정필 이문영 기자 fermata@hani.co.kr
우희종 서울대 교수(맨 오른쪽) 등 ‘한국방송 수신료인상저지 범국민행동’ 회원들이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국방송 앞에서 한국방송 이사회의 수신료 인상안 의결을 규탄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