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종합편성채널 관련 긴급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 단상 위 왼쪽부터 김창식 언론노조 춘천엠비시본부 위원장, 우석균 보건의료단체연합 정책실장, 김승수 전북대 교수, 이효성 성균관대 교수, 최진봉 텍사스주립대 교수, 최상재 전국언론노조 위원장, 조준상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 김성균 언론소비자주권국민캠페인 대표. 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언론4대강 종편 규탄’ 토론회서 우려 폭주
“인수합병 많아져 ‘큰손’이 언론 장악할 것”
“일본자본 유입…뉴스 심장부에 일본 침투”
“종편에 의무송신 특혜 부여하면 위헌소송”
“인수합병 많아져 ‘큰손’이 언론 장악할 것”
“일본자본 유입…뉴스 심장부에 일본 침투”
“종편에 의무송신 특혜 부여하면 위헌소송”
미디어행동과 민주당 최문순 의원이 5일 함께 연 ‘언론 4대강, 종편 규탄한다’ 긴급토론회에서 시민단체와 언론학자, 언론현업인들은 종편이 몰고올 방송환경의 악영향에 대해 우려를 쏟아냈다. 이날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1층 소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 토론자로 나선 최진봉 텍사스주립대 교수는 여론독과점과 방송의 선정성이 가속화할 것으로 진단했다.
최 교수는 “미국은 1996년 방송 소유 제한을 풀어주면서 인수합병이 극히 많아져 거대 미디어그룹이 전체 미디어시장의 90%를 장악했다”며 “한국도 ‘큰손’이 전체 언론시장을 장악할 수 있는 구조로 재편되면서 여론독과점화라는 미국의 잘못된 모델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뉴스전문채널 <폭스뉴스>를 사례로 들며 “미국 전체 매체 중 시청률이 가장 높은 폭스는 방송에서 막말을 하고 토론자를 불러 의견이 다르면 면박을 주는 등 선정성으로 시청자를 중독시킨다”며 “시청률 경쟁에 매달려야 하는 종편도 공익성을 상실하고 선정적, 자극적으로 갈 게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종편 출범으로 광고, 방송편성 등에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언론이 “말라죽을” 것이란 의견도 나왔다.
김창식 언론노조 춘천엠비시본부 위원장은 “(사업자들이 늘어나면서) 지상파는 활로 모색을 위해 주시간대에 지역방송 콘텐츠 중 보도, 시사, 교양 등 이른바 돈이 안 되는 것들을 다 자를 것”이라며 “이럴 경우 지역방송에서 지역의 중요한 의제는 사라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심각한 언론 불균형을 부를 것”이라고 우려했다.
최상재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4개의 종편이 방송을 시작하면 종편은 물론이고 지상파의 적자 전환도 불보듯 뻔하다”며 “지역신문이 가장 먼저 피해를 받고 도미노처럼 전체 신문의 공공성을 위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자본 유입을 놓고도 비판이 제기됐다. 종편사업자 가운데 <매일경제>가 최대주주인 <매일경제티브이>(MBS)엔 <일본경제신문사>가 1%, <중앙일보>가 3대 주주인 <제이티비씨>(jTBC)엔 <아사히티브이>가 3.08%의 지분을 투자했다. 김승수 전북대 교수는 “일본의 정보·문화 침략은 단순히 투자 액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우리 뉴스라는 심장부에 일본이 침투하고 콘텐츠를 지배한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종편 특혜로 거론되는 ‘의무전송’ 지위 부여엔 위헌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조준상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전파를 사용하는 지상파는 무료방송이라는 점에서 의무송신을 하는 데 반해 일반 피피(방송채널사용사업자)인 종편에 의무송신 지위를 주는 건 문제”라며 “의무송신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알아서 판단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민들이 주체가 돼 소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요한계시록 ‘지구 종말’의 현실화?
■ 대기업 취업문 다시 좁아지나
■ 미 ‘원정 출산’ 시민권 못얻나
■ 전문가들 “증시 과열” “더 오른다” 팽팽
■ 대학 입학하기도 전 회계사 시험 준비…못말리는 ‘스펙 열풍’
■ “대한민국 뉴스 심장부에 일본이 침투한다”
■ 물러나는 선동열 “우승 뒤 그만뒀더라면…”
종편 특혜로 거론되는 ‘의무전송’ 지위 부여엔 위헌 소송을 제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조준상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전파를 사용하는 지상파는 무료방송이라는 점에서 의무송신을 하는 데 반해 일반 피피(방송채널사용사업자)인 종편에 의무송신 지위를 주는 건 문제”라며 “의무송신은 네트워크 사업자가 알아서 판단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민들이 주체가 돼 소송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요한계시록 ‘지구 종말’의 현실화?
■ 대기업 취업문 다시 좁아지나
■ 미 ‘원정 출산’ 시민권 못얻나
■ 전문가들 “증시 과열” “더 오른다” 팽팽
■ 대학 입학하기도 전 회계사 시험 준비…못말리는 ‘스펙 열풍’
■ “대한민국 뉴스 심장부에 일본이 침투한다”
■ 물러나는 선동열 “우승 뒤 그만뒀더라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