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여명의 언론학자들 모임인 미디어공공성포럼이 ‘종편보도채널 허가 철회와 방송시장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미디어공공성포럼은 13일 오후 4시 경희대 경영대학관 오비스홀에서 개최한 올해 1차 정기총회에서 ‘종편 허가와 각종 특혜에 대한 우리의 입장’이란 성명서를 채택하고 “종편보도채널 선정은 정부ㆍ여당의 장기 집권 야욕과 국내 보수 언론의 무리한 방송사업 진출 욕심에서 비롯됐다”며 “무책임하고 개탄스러운 선택”이라고 비판했다.
미디어공공성포럼은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소속 언론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2008년 9월5일 창립했다.
이들은 “종편은 친여ㆍ친재벌 중심의 무비판적인 보수 여론획일화를 조장함으로써 민주주의를 후퇴시키는 불행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방송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위험한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방송사업자간 무한경쟁으로 선정적, 자극적 프로그램 편성으로 방송문화의 저질화를 가져올 것이 뻔하다”며 “이런 구도에선 방송 언론의 기본 덕목인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종편 허가 철회 △정부여당의 사죄와 책임자 사퇴 △종편에 대한 의무전송 규정 철폐 △사업자의 특혜 요구 중단과 정부의 지원정책 추진 철회 등을 요구하며 “정부ㆍ여당이 성의있는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공공성포럼 운영위원장인 정재철 단국대 교수는 “종편 논의에 대해 앞으로 적극적인 의사를 표시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대응 방안은 소속 회원들과 협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정필 기자 fermat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