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억 증자’ 조건부 재허가 뒤
18명 해고 통보… 외주화도 추진
노조 “경영진 퇴진” 천막농성
18명 해고 통보… 외주화도 추진
노조 “경영진 퇴진” 천막농성
지난해 말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로부터 조건부로 재허가를 받았던 경인지역 지상파 방송 <오비에시>(OBS)가 인력 구조조정에 착수해, 노동조합과 언론계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오비에스는 지난 14일 전국언론노조 오비에스희망조합지부(노조)에 직원 18명을 해고대상자로 선정했다고 통보했다. 앞으로 한 달 동안 대상자들로부터 희망퇴직 등의 신청을 받은 뒤 다음달 15일에 최종적으로 해고를 실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대해 노조는 15일 경기도 부천 오비에스 사옥 앞에서 ‘정리해고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경영진 퇴진, 정리해고 철회”를 주장하며 천막농성에 돌입했다.
이번 정리해고는 올해 초 회사가 제시한 ‘2017 경영혁신 및 구조조정 추진안’에 따른 것이다. 오랫동안 경영난에 시달려온 오비에스는 지난해 말 방통위의 지상파 재허가 심사에서 기준 점수를 넘기지 못했다. 그러나 방통위는 지역민 시청권 훼손, 언론인 대량 해고 등에 대한 우려를 고려해, 올해 12월31일까지 자본금 30억원 확충 등을 이행한다는 조건으로 재허가를 내줬다. 재허가 뒤 회사는 “현재의 적자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며 구조조정안을 내놨는데, 인원 감축과 외주화로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내용을 보면 비핵심 부서에서 33명을 외주화하고 20여명을 감원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 가운데 20여명 감원에 대한 계획을 이번에 먼저 실행에 옮긴 것이다.
문제는 자본금 확충에 대한 계획 없이 인력 감축만 제시하는 구조조정안이 방통위의 조건부 재허가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경인지역 시청자들을 위해 자체 프로그램 제작을 강화하라는 것이 조건부 재허가를 내준 종합적인 배경”이라며, “자체 프로그램 제작 역량의 악화로 이어질 인위적인 인력 감축은 방통위의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방통위의 오비에스 재허가 조건을 보면, 자본금 확충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고 “방송 프로그램 제작투자비는 재허가시 제출한 계획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라”는 조건이 달려 있다. 그 때문에 오비에스 노조는 김성재 부회장 등 경영진에 이번 사태의 책임을 물으며, 대주주인 백성학 회장과의 대화를 요구하고 있다.
재허가 조건에 따라 오비에스는 인력운용 계획 등을 분기마다 방통위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아직 오비에스의 인력운용 계획이 접수되진 않았다. 방통위가 민영회사의 경영에 세세하게 개입할 수는 없지만, 조건부 재허가의 취지에 따라 큰 틀에서 적절성 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