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자가족모임 회원들이 15일 오후 서울 통인동 참여연대 앞에서 참여연대가 천안함과 관련한 서한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등에게 보낸 것을 매국 행위라며 비난하고 있다. 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참여연대가 천안함 관련 의혹을 담은 서한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전달한 것을 두고 온라인에서 ‘국익’을 둘러싼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참여연대의 행위가 국익을 저버린 것이라는 비난과, 진실엔 국적이 없다는 반론이 맞붙으면서 제2의 황우석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보수 성향이 강한 누리꾼들은 이번 참여연대의 행동을 ‘이적행위’로 규정하고, 국가보안법을 적용해 처벌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참여연대의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안보 문제에선 좀더 신중했어야 한다는 지적도 적잖다. 한 누리꾼은 “어느 때보다 정부에 대한 비판과 견제세력이 필요한 시기지만, 좀더 신중하게 처신해달라”며 “폭넓은 국민들의 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한다면 시민단체는 활동 기반을 잃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익의 실체에 의문을 제기하며 이번 사태를 과학자들의 집단침묵 속에서 불거졌던 황우석 사태와 비교하는 누리꾼들도 많다. 황우석 박사의 발언과 합조단의 발표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한 한 누리꾼은 “그때나 지금이나 정치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국내 과학자들이 진실을 외면하고 민감한 사안에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성토했다.
황우석 사태 때도 의혹을 제기하면 국익에 해를 끼치는 악플러 등으로 몰아붙였지만 결국 그런 시도들이 진실을 밝혀낸 것 아니냐며 참여연대의 입장을 지지하는 누리꾼들도 적지 않다. 한 누리꾼은 “황우석 사건이나 그런 유사한 사건을 봤을 때 처음에는 그런 의혹을 제기한 사람들을 악플러로 몰았지만 그런 시도들이 결국 진실을 밝혀낸 것 아닌가?”라고 물었다.
정부가 국제사회에서 북한을 비난하면서도 국익을 위해 국민을 통제하는 북한의 모습을 닮아가고 있다며 정부를 비판하는 이들도 있다. ‘국익’과 ‘정권의 이익’을 구분하지 못하고 무작정 정부 발표를 신뢰하라고 강요하는 보수세력의 맹목성을 비난하는 의견도 빗발쳤다.
이번 사태가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우리 사회의 미성숙함을 보여준다는 지적도 있다. 한 누리꾼은 앞으로도 ‘국익’과 ‘다양성’이라는 가치가 상충할 경우 “앞장서서 나라 망신 시킨다”는 의견과 “자유에 재갈을 물린다”는 의견이 치열하게 맞설 것이라며 우리 사회의 분열을 우려하기도 했다.
e-뉴스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