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10돌 심포지엄
정치·경제개혁 중심서 생활정치 운동으로 이동
시민정치시대, 권력감시 기존 역할도 충실해야
정치·경제개혁 중심서 생활정치 운동으로 이동
시민정치시대, 권력감시 기존 역할도 충실해야
‘시민운동은 위기인가’, ‘시민운동은 어떤 전망을 가지는가’.
시민운동의 지난 10년을 되돌아보고, 향후 10년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보는 심포지엄이 9일 오후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한국엔지오학회 및 한겨레신문사 공동주최로 서울 성북구 고려대에서 열렸다. 연대회의 창립 10돌을 기념해 마련된 이날 행사에서, 총론 발제를 맡은 조대엽 고려대 교수(사회학)는 ‘시민운동이 위기인가’란 물음에 대해, 이는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지난 10년간 시민운동 위기담론의 대부분은 시민운동의 준거를 기존의 정치경제 개혁운동에 두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시민운동의 중심이 정치개혁에서 생활정치 운동으로 전환했는데, 많은 이들이 이를 보지 못하고 위기론을 얘기한다는 지적이다.
또 조 교수는 생활정치 운동은 정치개혁 운동에 견줘 일상적이고 미시적이어서 운동의 존재감이 약하게 비치는 것도 위기로 인식되는 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심포지엄 토론자로 나선 오성규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전 운영위원장도 “지난 10년 동안 다양한 주체가 손에 잡히지 않는 다양한 형태로 움직인 것은 결과적으로 시민운동의 저변이 확대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지난 2000년 이후 전환기를 맞은 시민운동의 흐름 속에서 기존 시민단체가 적극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데는 참석자 모두가 동의했다. 오성규 전 위원장은 “시민단체들은 앞으로 유권자 운동, 세입자 권리 운동 등 아주 구체적인 자신의 생활영역에서 권리를 찾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희 참여연대 협동사무처장은 ‘권력감시 운동의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낙선운동 등 시민운동의 성공 경험과 더불어 인터넷과 1인 미디어의 발달이 시민들의 자발적 행동을 불러일으키면서 기존의 대변형 운동의 입지가 약해졌다”며 “그러나 시민정치 운동이 권력감시 운동을 대체할 수는 없기 때문에 사회운동 내부에서 비판적 감시자의 역할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수행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새로운 생활정치 운동의 기회와 조건을 꾸준히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시민정치 운동을 통한 진보적 정권교체 운동을 펼쳐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생활정치가 삶의 양식과 내용에 관련된 것이라면, 시민정치는 이러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시민들이 의회정치, 정당정치, 선거정치에 직접 개입하는 것을 뜻한다. 그는 “진보적 정권교체 운동이야말로 ‘미시 민주주의’의 외피를 확보하는 핵심 과제”라며 “생활정치 운동과 시민정치 운동이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송채경화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