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은 30일 조명현 고려대 교수를 제5대 원장에 선임했다.
◇ 경기대 대체의학대학원은 개원 15돌을 맞아 2일 오후 2시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대체의학의 비전과 발전 전략’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연다.
◇ 서강대 총동문회는 31일 제30대 회장으로 이상웅 세방그룹 회장을 선출했다.
◇ 인하대는 최순자 총장이 LA올림픽라이온스클럽으로부터 지원받은 각막으로 28일 지역사회 소외계층에게 무료로 이식수술을 지원했다.
◇ 국민대는 교내 태양광자동차 동아리 KUST가 5월27~28일 열린 ‘2016 국제 대학생 창작자동차 경진대회 EV(전기자동차)부문에서 대상을 받았다.
◇ 경기대 대체의학대학원은 개원 15돌을 맞이하여 ‘대체의학의 비전과 발전 전략’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연다.
◇ 삼육대는 31일 세계보건기구가 지정한 ‘세계 금연의 날’을 맞아 교내 솔로몬광장에서 금연캠페인을 했다. 금연 결심 도장 찍기, 금연 2행시 짓기 등을 진행했다.
◇ 전쟁기념관은 한국전쟁 때 용문산 전투에서 공훈을 세운 이천길(1927~2013) 이등상사를 6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했다. 이 이등상사는 1951년 5월 적진을 뚫고 용문산 353고지에 고립된 제3대대와 연대 본부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복구해 전멸 위기의 제3대대 구출에 큰 역할을 했다.
◇ 국가보훈처는 2일 오전 10시30분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한국전쟁 전사자 유해 3위의 합동안장식을 연다. 지난해까지 발굴된 전사자 유해 5위 가운데 신원이 확인된 임병근 일병·정성준 하사·정인초 일병이며, 현충관에서 영결식 뒤 장·사병 제4묘역에 안장된다.
◇ 관세청은 31일 ‘5월의 관세인’으로 부산세관 양기근 관세행정관을 선정했다. 양 행정관은 수입금지 품목인 일본산 실뱀장어 밀수 현장을 적발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 서울시는 최근 신설한 서울디지털재단의 초대 이사장으로 이치형 평택대 교수를 임명했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서울이 처한 도시문제 해결에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기 위한 싱크탱크다.
◇ 한국윤리경영학회는 31일 동국대 경영학부 이영면 교수를 11대 회장에 선출했다.
◇ 한남대는 31일 강창희 전 국회의장을 석좌교수로 임용했다.
◇ 익스트림제이제이는 31일 인제대에 학교 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해 써달라며 기금 1억원을 기탁했다. 익스트림제이제이는 김해에 본사를 둔 전문 등산화 회사다.
◇ 국립과천과학관은 31일 국립국어원과 과천과학관에서 ‘과학 정보 구축 및 보급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두 기관은 첫 사업으로 과천과학관에 전시된 과학 체험물 50여 점에 대한 한국수어(수화) 해설 영상을 제작하기로 했다.
◇ 금융보안원은 31일 대검찰청과 금융 관련 사이버 범죄 대응 역량을 키우기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 두 기관은 금융권 보안 침해사고와 관련한 정보를 공유하고 디지털 포렌식 기술을 강화하는데 협력할 계획이다.
◇ 국회도서관은 31일 핀테크 산업 육성·발전을 위해 팩트북 제52호 ‘핀테크 한눈에 보기’를 펴냈다. 핀테크 현황과 정부 추진정책, 세계 각국의 대응책 및 관련 법령 등을 정리했다.
◇ 서울대 보건대학원은 2일 본교 61동에서 ‘가습기 살균제와 공중보건 위기’를 주제로 집담회를 연다. 서울대 백도명, 최경호 교수와 한국방송통신대 박동욱 교수 등이 발표자와 토론자로 참여한다. 피해 현장에서 활동중인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도 발표를 맡았다.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와 함께 청소년이 직접 주변의 문제를 해결할 공공정책을 입안해 보는 ‘제7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의 원고를 공모한다. 1일~9월29일까지 홈페이지(youth.kdemo.or.kr)에서 접수하면 된다.
◇ 평화재단 평화연구원은 14일 오후 2시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핵을 넘어 평화로: 히로시마와 후쿠시마의 메시지’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연다.
◇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는 14일부터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사회복지시설 등 교육 취약층 중·고생을 대상으로 한 ‘금융투자 진로체험교실’을 운영한다. 누리집(kcie.or.kr)에서 선착순 접수.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국내 계약재배 활성화를 통한 배추·무·마늘·양파 수급안정과 농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배추·무·마늘·양파 농업인을 대상으로 10일까지 ‘노지채소 수급안정자금’을 지원받을 사업자를 모집한다. 자금지원 규모는 총 340억원이며, 대출기간은 5년이다. 누리집(at.or.kr) 참조.
◇ 고용노동부·중소기업청은 6월 한 달간 중소기업 청년근로자의 자산 마련을 위한 ‘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 신청을 받는다.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근로자가 2년간 300만원을 내면 정부와 기업이 각각 600만원과 300만원을 지원해 1200만원(이자 별도)을 돌려주는 제도다. 누리집(work.go.kr/intern) 참조.
◇ 서울 북부교육지원청은 청사 1층 로비에 1949년 교육법 제정 이후부터 현재까지 대한민국 교육의 역사를 신문기사·사진·설명과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한 ‘역사의 벽’을 상설 전시한다.
◇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대학총장협회는 1일 오후 2시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한국사회의 위기진단과 대응전략’을 주제로 공동 학술대회를 연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