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여기자협회(회장 채경옥)는 15일 오후 2시30분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언론사 취업 희망자들을 위한 ‘기자가 되는 길’ 워크숍을 연다.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1부 ‘이런 인재를 원한다'에는 이성철 <한국일보> 편집국장과 권석천 보도국장이, 2부 ‘나는 이렇게 준비했다'에는 김예나 <연합뉴스>, 안정훈 <매일경제신문>, 신혜정 <한국일보>, 이경국 기자가 경험담을 들려준다. 참가비 무료. (02)313-3556.
◇ 한국기자협회는 한국언론학회·삼성언론재단과 함께 25일 서울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자연주의 뉴스론: 돈도 뭣도 안 되는 탐사보도는 왜 하나’라는 주제로 제5회 한국 저널리즘 컨퍼런스를 연다. 이메일(sspf@samsung.com)로 신청 가능. (02)597-4204.
◇ 강북구는 14일 한신대 신학대학원 공연장에서 강북구 역사문화인물을 조명하는 가을음악회 공연으로 문익환 목사의 통일운동과 시를 되짚어보는 `늦봄의 마음'을 진행한다.
◇ 숭실대는 최근 예술창작학부 영화예술 전공생들이 제작한 <목발 들어주는 아이>, <누나의 가출>, <유리의 여름>이 제 22회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앵글(한국단편경쟁 부문)에 진출했다.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새달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처음으로 ‘노벨 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을 연다. 리처드 로버츠(1993년 노벨생리의학상), 아다 요나스(2009년 노벨화학상), 로버트 후버(1988년 노벨화학상), 핀 키들랜드(2004년 노벨경제학상), 세르주 아로슈(2012년 노벨물리학상) 등 5명의 수상자가 연사로 참석하고, 20여 명의 국내·외 석학을 초청, 대중 강연과 토론을 진행한다.
◇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12일 서울 정동 사랑의열매회관에서 ‘2017년도 아너소사이어티 여성회원의 날' 행사를 열어 추석 상차림 세트 1천개를 제작했다. 홍보대사인 가수 인순이, 이민재 전 여성경제인협회장 등 여성 회원 40명이 참여했다.
◇ 교보문고는 창립자인 대산 신용호의 탄생 100돌을 맞아 16일 오후 3시 서울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23층 교보컨벤션홀에서 북콘서트를 열고, 광화문점에서는 22∼23일 오전 6시까지 밤샘 영업을 한다.
◇ 현대상선 미주지역본부는 12일 초강력 허리케인 ‘하비'로 수십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지역에 구호물품을 전달했다. 직원들이 개인적으로 소장한 의류, 약품, 생수 등을 모아 댈러스 지역 적십자에도 전달할 예정이다.
◇ 인천대는 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권용범씨의 논문 2편이 최근 과학논문인용색인(SCI)급 국제 학술지인 <프레제니우스 인바이런멘털 불레틴>과 <이라니언 저널 오브 퍼블릭 헬스> 10월호에 각각 게재될 예정이다.
◇ 현대HCN은 10월 13일까지 초등생 1∼6학년을 대상으로 제11회 ‘현대HCN 어린이 영어말하기 대회'를 연다. 11월 중 개최되는 본선대회를 거쳐 최우수 학생으로 선정된 총 8명에게는 3박 4일의 홍콩투어 기회가 제공된다. 누리집(hcn.co.kr) 참조.
◇ 석림회는 고려대 교수들로 구성된 장학재단으로 14일 교내 백주년기념관에서 올해 2학기 장학증서 수여식을 연다. 학생 72명에게 장학금 약 1억7천만원을 지급한다.
◇ 초록우산어린이재단은 박보영(배우)·산돌커뮤니케이션과 함께 12일 어려운 상황에 처한 아이들을 위한 ‘산돌초록우산어린이체'개발을 위한 공동 협약을 맺었다. 박보영(배우)의 손글씨를 본뜬 서체이며 내년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창립 70돌에 맞춰 무료로 배포할 예정이다.
◇ NH투자증권은 새달 16일까지 전국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NH투자증권 대학생 광고 공모전'을 연다. 주제는 모바일증권 ‘나무;로 TV광고스토리보드, 인쇄광고, 프로모션아이디어 등 3개 분야이다. 누리집(nhiscontest.com) 참조.
◇ 한국장애인개발원은 한국예탁결제원과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서 지체?뇌병변 장애아동을 위한 맞춤형 휠체어 전달식을 열고 장애아동 25명에게 총 5천만원 상당의 유모차형 휠체어를 지원했다.
◇ 한국고전번역원은 9월 14일부터 10월 12일까지 서울 은평구립도서관에서 매주 목요일마다 4차례에 걸쳐 은평구민들과 은평구 작은도서관 22곳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인문고전강연’을 연다. (02)349-1143.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