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11 18:47 수정 : 2019.12.12 02:35

2018년 부산 해운대 ‘바보주막’에서 전교조 선생님들과 함께 했다. 맨왼쪽 고 고호석, 세째 필자 윤지형 선생.

[가신이의 발자취] ‘해직교사 동지’ 고호석 선생을 차마 떠나보내고

2018년 부산 해운대 ‘바보주막’에서 전교조 선생님들과 함께 했다. 맨왼쪽 고 고호석, 세째 필자 윤지형 선생.
나의 벗이여, 그대는 지금 어디메쯤 있는가? 가만히 불러보면 당신은 냉큼 내 곁에 와 있는 것만 같은데, 돌아보면 어디에도 보이질 않는구나. 그래. 지난 11월 28일, 우리는 그대를 ‘고 고호석 선생 민주시민사회장’이란 예를 갖춰 다신 돌아올 수 없는 먼 길로 차마 떠나보냈었지. 그날 그대가 커다란 초상화 속에서 활짝 웃고 있는 부산민주공원 영결식장에는 초겨울의 찬바람이 마구 불었다. 나는 전날 밤 남천성당에서 열린 두 번째 추모문화제 때 그대도 한 멤버였던 박종철합창단이 부른 노래 ‘부치지 않은 편지’를 혼자 속으로 불렀더랬다. ‘시대의 새벽길 홀로 걷다가, 사랑과 죽음이 자유를 만나….’ 생각하니 또 눈물이 나는구나.

지난 8월 말께 한여름이었다. 골육종암이라는 놈이 머지않아 그대를 무너뜨릴 것이라는 억장 무너지는 소식을 전해들은 것은. 나는 억울하고 애통했다. 박정희 유신독재의 발톱도, 전두환 신군부의 도살자들도 끝내 어쩌지 못한 그대였기에. 이윽고 가을은 오고 결국 옮겨간 부산성모병원 호스피스병동, 죽음은 사정없이 다가오는데 그대는 내게 인터뷰어가 되어 달라고 청했었다. 그래서 나는 물었지. ‘무엇이 그대를 여기까지 오게 한 건지 한마디로 말해 보오.’

1979년 부마민주항쟁의 맨앞자리, ‘부림사건’과 잔혹한 고문의 36일과 2년6개월의 옥살이와 대동고 해직(1981), 기독교교회협의회(NCC) 부산인권선교협의회 간사(1984),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부산본부 사무국장·상임집행위원(1987), 사면과 복권과 거성중 복직(1988)…, 전교조 부산지부장(2005), 부산교육정책연구소 소장(2010), 정치개혁 부산행동 상임대표(2017),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상임이사,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봄’ 공동대표(2018)….

내 질문에 그대는 자신이 걸어온 길을 주마등처럼 돌아보았겠지. 침대 위 그대는 웃음 지으며 내게 낮게 대답했지. “그건 사람에 대한 사랑이오.” 오, 나는 그대의 그 말이 참 좋았다. 누구나 할 수 있는 소박한 말일지언정 고호석이기에, 세상이 태평했다면 학교에서 아이들과 울고 웃는 그저 평범한 교사로, 행복한 가장으로 내내 살았을지도 모른다고 한 고호석이기에. ‘사람에 대한 사랑’, 내게 그것은 그대 생애의 비밀을 푸는 열쇠와도 같았다는 말이오. 사실 우리는 알고 있었다. 눈물 많은 사나이 고호석, 저 정연하고도 명징한 지성의 바닥에는 눈물이, 사랑이 가득 차 있었다는 거. 그래서 남모를 외로움과 아픔을 혼자만 안고 가는 시간들이 많았던 건 정녕 아니었던가, 그리운, 사랑하는 그대여…?

저 하늘나라에 병마도 아픈 이별도 없는 세상이 만약 있다면, 자유와 민주와 정의와 평화가 꽃밭으로 만개한 그런 세상이 있다면 바로 고호석 그대가 깃들어 마땅한 세상. 그 하늘 세상에서 그대여, 그대 못다 한 사랑, 우리에게 햇빛으로 달빛으로 언제까지나 내려 주게나. 부디 안녕, 안녕하시게나.

윤지형/박종철합창단 부단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