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지역 선교활동도 줄어들 듯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에 납치된 인질 19명의 석방 조건에 선교 중지가 포함됨에 따라 적어도 아프간에서는 선교활동을 할 수 없게됐으며, 나아가 다른 위험지역 선교활동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위험지역 여행 통제가 강화되는데다 종교계에서도 이번 인질사태를 계기로 위험지역 선교활동을 자제하고 정부 방침에 따라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분쟁지역에서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펼치는 공격적 선교방식의 변화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아프간 인질석방 합의를 발표하면서 "선교 때문에 가 있는 NGO(비정부기구)는 다 철수한 것으로 안다"면서 "앞으로 여행금지국 제도와 종교계와의 협상을 통해 실질적으로 위험한 선교가 이뤄지지 않도록 조치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용규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은 "아프간 내 선교활동 중지를 조건으로 인질이 석방된 것이므로 한국 교회는 정부의 방침에 순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기총 선교국장 박요셉 목사는 "아프간은 여행금지국으로 지정된데다 탈레반의 요구에 따라 선교봉사팀을 철수할 수 밖에 없다"면서 "앞으로 정부 방침에 협조해 위험지역에서 선교.봉사활동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오성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 총무도 "상황이 변하지 않는 한 합의를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한국교회는 선교 방식을 돌아봐야 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봉사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종교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인질 석방을 위해 온 국민이 종파를 떠나 모든 노력을 기울였다"면서 "하지만 피랍자들이 국민에게 끼친 피해, 그에 따른 자괴감 등을 생각할 때 이번 일을 종교간 이해와 화합을 다지는 계기로 삼지 않으면 안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종교계 인사도 "그동안 온 국민이 피랍자의 무사귀환을 기도했지만 이제는 개신교 내부적으로 독선주의를 반성하고 상대방의 문화와 종교를 인정하는 근본적인 자세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계선교협의회 사무총장 강승삼 목사는 "이번에 봉사활동을 떠난 팀을 선교팀으로 보는 시각에 대해서는 반대하지만 어쨌거나 문제가 생겼으므로 관련 단체들은 모두 철수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기독교 단체의 선교.봉사활동은 새로운 방안을 찾아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요란하게 떼지어 다니는 단기 선교.봉사 활동도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정천기 기자 ckchung@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