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계-노·정 뜻모아 중재안 마련”
4대종단 공감속 “정부 잘못 따져야”
문재인, 화쟁위 중재기구 참여 뜻
4대종단 공감속 “정부 잘못 따져야”
문재인, 화쟁위 중재기구 참여 뜻
“과격시위와 과잉진압이라는 악순환을 정리하고 평화집회를 할 수 있도록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다 할 생각이다. 국민들의 공감과 지지 속에서 큰 걸음 내딛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
다음달 5일 2차 민중총궐기대회의 개최를 두고 경찰과 민주노총 등 시민사회단체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대한불교조계종 화쟁위원회(화쟁위)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도법 스님이 “종교계와 정치권·노동계 등의 뜻을 모아 중재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도법 스님은 29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다음달 5일 이전까지 평화집회를 보장할 수 있도록 여야는 물론 한국노총과 다른 종교까지 설득해 중재안을 마련해 보겠다”고 말했다. 앞서 28일 화쟁위는 “차벽이 들어선 자리에 종교인들이 사람벽으로 평화지대를 형성하겠다”며 중재에 나섰지만, 경찰이 사실상 거절했다. 이에 대해 도법 스님은 “한번 거절한다고 끝은 아니지 않나. 문제 해결하고 길을 열어가는 차원에서 다 열어놓고 해야 한다”고 했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견지동 조계사에서 도법 스님을 만나 화쟁위 산하 중재 기구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종교계가 함께 중재에 나서자”는 화쟁위의 제안에 대해 4대 종단은 대체로 취지에 공감하지만 ‘정부의 잘잘못’도 따져 물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개신교의 전국목회자정의평화협의회 박승렬 특임위원장(목사)은 “화쟁위 의견에 공감대를 갖고 있다. 경찰이 물대포를 쏜다면 성직자들이 맨 앞에 가서 맞아 정권의 폭압성을 규탄하는 일이 성직자로서 해야 할 일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대성 원불교 사회개벽교무단 사무국장도 “화쟁위 의견에 공감하지만 개인적으로 정부에서 구조적으로 폭력 시위를 조장하는 측면이 있다고 본다. 정부가 다음달 5일 집회를 불허한 점도 헌법적 근거가 없고, 경찰 물대포에 맞아 다친 농민을 찾아가보지도 않으면서 합법적·평화 시위를 운운하는 게 ‘언어도단’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종교계의 중재가 자칫 지난 집회를 불법으로 낙인찍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천주교 정의구현전국사제단의 대표를 맡고 있는 김인국 신부는 “(화쟁위) 취지는 백번 공감하는데, 지난 14일 민중총궐기대회 전체를 불법·폭력 집회로 매도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고 밝혔다. 김 신부는 “분명히 싸움의 가해자가 있고 피해자가 있는데도 ‘싸움 자체가 없어야 한다’는 부분까지 동의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도법 스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