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성 이렇게 말해보세요
동성간의 친밀한 관계가 중요한 청소년기는 이것이 과연 우정인지 아니면 동성애인지 애매할 때가 많다. 성에 대한 정보와 자극이 넘쳐 나는 시대인지라, 특별히 동성애적 취향은 없는데 우연히 자극을 받아 일종의 성적 놀이 같은 동성애에 빠지는 경우도 없지 않다. 임신한 사실을 모르고 피임약 등 호르몬제를 과다하게 복용한 엄마로부터 태어난 남자 아이의 경우 나중에 여성 같은 정신 신체 특징을 보일 때도 있다. 드물지만 염색체 이상이나 호르몬 이상 때문에 동성애 성향이 생기기도 한다.
동성애도 이렇게 원인이 다양한 까닭에, 의사나 부모들은 단순화되고 경직된 태도로 청소년의 동성애 성향을 대하지 말아야 한다. 부모와의 심리적 갈등이나 잠재적인 사회 부적응 등이 병존하는 케이스들도 있지만, 동성애적 취향에도 불구하고 정신적으로 문제가 없는 경우도 없지 않다.
개인적인 특징들과 상관없이 일단 동성애자들은 공통적으로 몇 가지 심리적 문제들을 갖게 된다. 우선 자신들의 성적 취향을 인정하지 못하고 수치심을 느끼게 만드는 부모나 교사들의 보수적 태도와의 갈등이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로서 자신의 진짜 모습을 아무에게나 전부 노출시키지 못하는 탓에 불필요한 죄의식이나 불편함을 느끼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동성애 때문에 가정과 사회에서의 고립되니 이를 보상하는 뜻에서 자신의 파트너에게 지나치게 집착하거나 상처를 쉽게 주고 받기도 한다. 어떤 면에서는 독점욕과 질투 등의 문제로 이성애자보다 오히려 더욱 폭력적인 경우도 없지 않다.
심리학적으로 보면, 동성애자들은 자기 안에 있는 남성과 여성 모두를 인정하고 통합하려는 노력을 의식 수준에서 끊임없이 해나가야 하기에 이성애자들이 갖지 못하는 독특하고도 창의적인 사고와 작업을 하기도 한다.
그리스의 시인 사포나 플라톤은 자신들의 동성애적 취향을 자랑스럽게 글로 표현하기도 했고, 현대의 이안이나 이준익 감독 같은 이들은 동성애를 소재로 삼아 이성애자들에게 부족한 따뜻한 시선을 환기시켜 주기도 했다. 생태학적으로도 한정된 공간에서 쥐를 사육하여 밀도가 높아지면, 자살, 자위, 동성애, 자해, 타해 등의 모든 문제 행동들을 보인다고 한다. 따라서 자신에게 동성애적 취향을 발견했다거나 혹은 그런 경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이 근처에 있다면, 일단 동성애를 도덕적인 타락으로 보는 경직된 태도에서 벗어나, 그들의 성격과 환경 전체에 대해 보다 통합적인 접근을 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설령 떳떳하게 성적 취향을 주장하는 건강한 동성애자라 해도 사회적으로 넘어가야 할 산은 너무나 많다.
nleekr2000@yahoo.com
이나미/신경정신과 원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