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 통합 6년 과정 대안학교인 ‘더불어 가는 배움터 길’(경기도 의왕시 내손동)에서 2007학년도 신입생 및 편입생을 모집한다. 신입생 모집 인원은 20명이며, 장애우는 정원의 10% 범위에서 받는다. 편입생은 중학교 1학년 과정에서 약간 명을 모집한다. 입학원서와, 학생·학부모 자기소개서, 추천서를 갖춰 11월4일까지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내면 된다. cafe.naver.com/yulmok.cafe, (031)421-3779.
●비룡소는 독서의 계절을 맞아 ‘청소년 독서감상문 대회’를 연다. 대상은 전국 중학생 및 중등 교사이며, 비룡소에서 선정한 추천도서 12권 가운데 1권을 읽고 독서감상문을 써서 보내면 된다. 소감문, 편지글, 시, 일기 등 어떤 형식이든 가능하며, 분량에도 제한이 없다. 인터넷(bir.co.kr)에서 지원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하면 된다. 11월30일까지 우편으로 접수한다. 발표는 내년 1월31일. 대상 1명, 최우수상 10명 모두 61명을 뽑아 장학금과 상패, 책 등을 상품으로 준다. (02)515-2000(내선 361).
●삼성어린이박물관은 11월8일 오전 9시부터 삼성미술관 리움 안에 있는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강당에서 세계 최초의 어린이박물관인 브루클린어린이박물관(Brooklyn Children's Museum)의 캐롤 엔세키 관장을 초빙한 가운데 ‘혁신과 헌신- 어린이를 위한 체험식 박물관’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연다. 엔세키 관장은 어린이박물관의 사명과 역할, 교육적 목적과 문화 전파력 등을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홈페이지(samsungkids.org)를 통해 선착순 접수한다. (02)2143-3600.
●서울국제유아교육박람회(seoulice.com)가 26~29일 경기도 일산 한국국제전시장(킨텍스)에서 열린다. 출판, 교구·문구, 완구, 게임, 학습기자재, 유아동복, 침구, 유아용품, 어린이 전용시설, 놀이·체육시설 등 유아교육에 관련된 400여개 업체가 참가한다. 블럭쌓기, 캐릭터와 함께 사진찍기, 동화구연대회, 유아무용단시범공연, 어린이 무료진료 등 다양한 이벤트도 함께 마련된다. 같은 기간, 같은 장소에서 서울국제임신출산육아용품박람회도 열린다. (02)564-7766.
●중등 온라인 교육사이트 1318클래스(1318class.co.kr)는 남은 학기를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내신성적 향상 특별 패키지를 선보였다. ‘내신 3.3.3.’ 이라는 주제로 구성된 이 강좌는 1년 동안의 학업을 총 복습 할 수 있으며, 과목별, 단원별로 부족한 부분이나 보충해야 할 부분만 선별한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 또 기말고사 특강을 통해 단기간에 성적향상을 꾀할 수 있다. 패키지를 사면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방법 및 일정을 계획하고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성적이 오르는 다이어리’를 제공한다. 이달말까지 10% 할인판매한다. (02)840-5941. ●서울 대왕중학교(daewang.ms.kr)는 25일~28일 도서관 축제를 연다. 독서 시화·엽서·신문 등 독서 관련 작품들을 모집해 교내 도서실에서 전시하며, 25일에는 독후감 발표회도 갖는다.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의 저자인 홍은택씨를 초청해 강연을 듣고 대화하는 시간도 25일 마련한다. (02)2226-2646.
●중등 온라인 교육사이트 1318클래스(1318class.co.kr)는 남은 학기를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내신성적 향상 특별 패키지를 선보였다. ‘내신 3.3.3.’ 이라는 주제로 구성된 이 강좌는 1년 동안의 학업을 총 복습 할 수 있으며, 과목별, 단원별로 부족한 부분이나 보충해야 할 부분만 선별한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다. 또 기말고사 특강을 통해 단기간에 성적향상을 꾀할 수 있다. 패키지를 사면 학생 스스로 자신의 학습방법 및 일정을 계획하고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성적이 오르는 다이어리’를 제공한다. 이달말까지 10% 할인판매한다. (02)840-5941. ●서울 대왕중학교(daewang.ms.kr)는 25일~28일 도서관 축제를 연다. 독서 시화·엽서·신문 등 독서 관련 작품들을 모집해 교내 도서실에서 전시하며, 25일에는 독후감 발표회도 갖는다. <아메리카 자전거 여행>의 저자인 홍은택씨를 초청해 강연을 듣고 대화하는 시간도 25일 마련한다. (02)2226-2646.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