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디별 천문과학관 개관
5일 전북 무주군 설천면 백운산 근처 반디랜드에 천문과학관 개관. 관측실에서 인공위성 추적 및 감시 기능을 가진 800㎜ 천체망원경이 설치돼 태양을 비롯한 행성과 성운, 성단, 인공위성 등 관측. 또 305㎜ 특수 반사망원경을 비롯해 13대 소구경 망원경을 직접 설치하면서 망원경의 원리와 사용방법을 체험. 우주의 탄생과 진화, 은하의 모습, 태양계의 기원과 별자리, 우주기지 디오라마 등을 관람. 반디랜드 안에는 곤충박물관도 있음. 문의 무주군청 문화관광과 (032)320-2545.
■ 경주박물관 ‘금관의 나라, 신라’전
8월31일까지 국립 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 신라를 대표하는 문화재를 하나하나 꼼꼼히 살펴보는 기회로 마련된 전시. 이번에 천마총에서 출토된 금관과 허리띠꾸미개를 특별히 공개한다.
■ 자연사박물관 해양동물 사진전
12일까지 서울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바닷속의 아름다운 생태사진과 스쿠버 다이빙 촬영장비, 생태사진에 나오는 실물 해양생물 표본 전시. 또 6월1일까지는 ‘국가간 거래방지 멸종위기 동물 100선’ 전시로 국립중앙과학관과 관세청이 소장한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의 표본과 가공품 전시. 문의 홈페이지(namu.sdm.go.kr) 및 전화 (02)330-8869.
■ ‘오늘로 걸어나온 겸재’전 6월14일까지 경기 고양시 아람어린이미술관. 진경산수화를 개척한 겸재 정선의 작품 80여점을 전시와 산수화를 주제로 한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 ‘풍경 속으로 풍덩’. 한국화의 붓, 먹, 종이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들이 수묵화의 기법과 재료들을 체험하고 어린이들이 즐겨 그리는 산, 나무, 인물 등의 소재를 그려본다. 문의 (031)960-0111. ■ 영어뮤지컬 ‘Teeth’ 18일까지 서울 코엑스 아트홀. 잠자는 숲 속의 공주를 찾은 왕자는 공주에게 키스를 해 깨어나지만 그 입냄새에 기겁을 한다. 재미난 동화를 바탕으로 이를 잘 닦자는 교훈까지 담겨 있는 이야기로 국내 최초로 연기를 전공한 외국인들이 보여주는 영어뮤지컬. 관람료 3만원. 문의 극단서울(www.smusical.com). ■ 가족뮤지컬 <대디, 아이러뷰> 6월29일까지 서울 청담동 유시어터. 초원에서 끌려와 수레를 끄는 아빠 말과 아들 말이 등장하는 이야기로 도전과 모험, 가족간의 사랑을 확인하는 줄거리. 24개월 이상 입장 가능하며 스케치북, 인형 이벤트 등 어린이를 위한 행사도 마련. 문의 1544-1555. www.youtheater.co.kr ■ 별별 가족문화축제 24일 오후 1시부터 서울광장. 가족들과 풍선으로 꿈을 장식하는 ‘벌룬 페스티벌’, ‘30쌍의 이웃들을 위한 희망결혼식’ ,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공연, 테마 체험부스 등 진행. 참가신청과 문의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 ‘오늘로 걸어나온 겸재’전 6월14일까지 경기 고양시 아람어린이미술관. 진경산수화를 개척한 겸재 정선의 작품 80여점을 전시와 산수화를 주제로 한 어린이 체험 프로그램 ‘풍경 속으로 풍덩’. 한국화의 붓, 먹, 종이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들이 수묵화의 기법과 재료들을 체험하고 어린이들이 즐겨 그리는 산, 나무, 인물 등의 소재를 그려본다. 문의 (031)960-0111. ■ 영어뮤지컬 ‘Teeth’ 18일까지 서울 코엑스 아트홀. 잠자는 숲 속의 공주를 찾은 왕자는 공주에게 키스를 해 깨어나지만 그 입냄새에 기겁을 한다. 재미난 동화를 바탕으로 이를 잘 닦자는 교훈까지 담겨 있는 이야기로 국내 최초로 연기를 전공한 외국인들이 보여주는 영어뮤지컬. 관람료 3만원. 문의 극단서울(www.smusical.com). ■ 가족뮤지컬 <대디, 아이러뷰> 6월29일까지 서울 청담동 유시어터. 초원에서 끌려와 수레를 끄는 아빠 말과 아들 말이 등장하는 이야기로 도전과 모험, 가족간의 사랑을 확인하는 줄거리. 24개월 이상 입장 가능하며 스케치북, 인형 이벤트 등 어린이를 위한 행사도 마련. 문의 1544-1555. www.youtheater.co.kr ■ 별별 가족문화축제 24일 오후 1시부터 서울광장. 가족들과 풍선으로 꿈을 장식하는 ‘벌룬 페스티벌’, ‘30쌍의 이웃들을 위한 희망결혼식’ , 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공연, 테마 체험부스 등 진행. 참가신청과 문의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