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칼럼] 대한민국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
2011년도 부터 적용되는 외고.국제고 전형의 핵심이 입학사정관제도로 기울어졌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일체의 필기고사를 없애고 영어성적과 학습계획서, 면접으로만 신입생 전원을 선발한다”며 “지난해 12월에 발표한 외고 입시 개편안의 후속 조치로 이 같은 내용의 입시안 세부 계획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면접은 학생이 직접 쓴 학습계획서, 교사가 쓴 추천서, 영어 이외의 다른 교과 성적은 배제된 학교생활기록부를 토대로 진행된다(입학사정관제도)”고 밝혔다.
입학사정관제도란 입학사정관이 학생이 사교육 등 외부의 도움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능력을 얼마나 갖췄는지,자기주도적으로 공부해왔는지는 평가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교육 시장을 최대한 축소하기 위해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가 오히려 역효과를 내고있다.
‘스펙 쌓기’ 전문 학원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고, 이들에게 ‘입시전용 포트폴리오’ 작성이란 식은죽 먹기라는 것이다. 한 전교조 관계자는 “자기주도학습 전형 역시 잠재력과 능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학생 입장에선 독서경험, 봉사활동 등 다양한 스펙을 쌓는 부담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자기주도적 독서활동과 봉사활동이 아닌 입시를 위해서는 할 수밖에 없는 꼴이 되어버렸다.
또, 영어 내신만 반영하는 것도 문제이다. 강인수 인천외고 교장은 “영어 성적만으로 뽑는다면 영어에만 올인해 중학교 전인교육은 물건너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문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큰 숲을 보지 못하고 작은 나무 한 그루에만 치중하게 만들 것 이라는 우려도 있다. 외국어교육의 목표는 외국어를 바탕으로 하는 글로벌인재의 육성이지 외국어‘만’잘하는 기능성 인간을 육성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 선출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밝혀졌다. 전미입학사정관협회는 1937년 설립돼 엄격한 자격요건과 연수시스템을 갖춘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시·도교육청에서 60시간의 고입 입학사정관 특별연수만 받으면 자격증을 부여하는 시스템을 가졌다는 것이다. 민주당 김진표 의원은 이 문제를 두고“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전문성, 객관성, 공정성 확보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여론에서는 정부에서 아직 대입에서 검증도 되지 않은 이 제도를 너무 성급히 적용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 하나의 제도가 완성되면 최소한 2년 정도는 검토의 과정을 거쳐서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입학사정관제는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실행된 것이다. 5년이라는 임기 안에 단순히 순간적으로 비추어지는 ‘사교육 시장의 축소’를 위해 학생들을 혼란에 빠트리는 것이라면 이 제도는 좀 더 검토해 봐야 함이 옳다. 사교육 보다 경쟁력 있는 공교육으로 발전해야 하는 것이지, 사교육을 없앰으로써 공교육을 발전시키려 한다면, 대한민국의 공교육은 한자리에만 머물러 있을 것이다. 박소혜 기자 7045557@naver.com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입학사정관 선출과정에서도 문제점이 밝혀졌다. 전미입학사정관협회는 1937년 설립돼 엄격한 자격요건과 연수시스템을 갖춘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시·도교육청에서 60시간의 고입 입학사정관 특별연수만 받으면 자격증을 부여하는 시스템을 가졌다는 것이다. 민주당 김진표 의원은 이 문제를 두고“학부모와 학생들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한 전문성, 객관성, 공정성 확보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여론에서는 정부에서 아직 대입에서 검증도 되지 않은 이 제도를 너무 성급히 적용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의 목소리도 높이고 있다. 하나의 제도가 완성되면 최소한 2년 정도는 검토의 과정을 거쳐서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입학사정관제는 채 1년도 지나지 않아 실행된 것이다. 5년이라는 임기 안에 단순히 순간적으로 비추어지는 ‘사교육 시장의 축소’를 위해 학생들을 혼란에 빠트리는 것이라면 이 제도는 좀 더 검토해 봐야 함이 옳다. 사교육 보다 경쟁력 있는 공교육으로 발전해야 하는 것이지, 사교육을 없앰으로써 공교육을 발전시키려 한다면, 대한민국의 공교육은 한자리에만 머물러 있을 것이다. 박소혜 기자 7045557@naver.com
ⓒ2007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즐겨찾기 - 인터넷뉴스 바이러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