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NIE] ‘석패율’ 제도로 지역 구도 해소할 수 있나요?
최근 여야 정치권에서 석패율제 도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석패율’ 제도는 한 후보가 지역구와 비례대표 두 곳에 등록하는 것으로 ‘지역 구도 해소’와 ‘사표 방지’가 목적입니다. 하지만 ‘석패율’ 제도를 악용할 소지도 있습니다. 석패율 제도의 도입 배경과 찬성·반대 두 주장을 알아봅시다.
[중학NIE] 사람들은 왜 명품에 빠질까?
지난 2일 부산의 20대 직장 여성이 구찌·루이뷔통·페레가모 등 명품을 구입하다 카드빚에 몰려 자살했습니다. 그는 명품에 빠져 1억원의 빚이 있었고 개인파산 상태였다고 합니다. 사람들 대부분은 이 여성의 잘못이라고 비판합니다. 그러나 명품을 사기 위해 과소비를 하는 게 단지 개인 의지의 문제일까요? 사회적으로 명품 소비를 부추기는 요인은 없을까요?
[논리 대 논리] 중동 혁명, 북한에 미치는 영향은?
지난 1월 튀니지에서 시작한 민주화 바람이 중동으로 건너가 이집트를 강타한 뒤, 리비아에 휘몰아쳤습니다. 이제는 중동의 민주화 바람이 북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측에 어느 정도 동의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북한에 미칠 영향의 정도와 북한 변화에 대응할 우리의 태도에 관해선 주장이 엇갈립니다. 양쪽의 주장을 알아봅시다.
※ <아하! 한겨레> 구독을 신청하시면 <한겨레>를 발송할 때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문의 1566-9595. www.ahahan.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