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대평가제로 왜 바꾸나
수업선택 학생 14명 안되면
상대평가땐 ‘등급공백’ 우려
성적 부풀리기 막기 위해
성취도별 학생분포 공개 방침
수업선택 학생 14명 안되면
상대평가땐 ‘등급공백’ 우려
성적 부풀리기 막기 위해
성취도별 학생분포 공개 방침
교육과학기술부가 13일 발표한 내신 절대평가 제도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다른 학생과의 서열 비교로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정한 성취 기준에 따라 학생 개인의 성취도를 살펴보는 평가 방식이다. 학생들은 이 성취도를 바탕으로 교과목별 평가기준에 따라 최대 6단계(A~F)로 나뉜 성적을 받게 된다.
■ 왜 바꿨나 교과부의 절대평가 전환은 2009년 도입한 개정 교육과정에 맞게 평가제도를 손보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보인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목을 ‘기본(‘하’반)-일반(‘중’반)-심화(‘상’반)’ 세 단계로 나눠 학생들이 수준별로 수업을 들을 수 있게 했다. 2014년까지 전체 중·고교 88%에서 학생들이 교과목과 수업 수준에 맞게 분류한 교실로 이동해 수업을 듣는 교과교실제가 도입되는 까닭이다.
이에 따라 교과부는 고교에서 개설되는 과목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성취율 평가 단계를 세분화했다. 논리학 등 교양교과 일반과목과 영어·수학 기본과목은 이수(P)와 미이수(F) 2단계, 체육과 예술교과 일반과목은 A·B·C와 미이수(F) 4단계로 나눴다. 또 국어, 영어, 수학, 사회·과학탐구, 생활교과(기술·가정, 제2외국어, 한문)의 일반과목과 심화과목, 체육과 예술교과 심화과목은 ‘A~F’ 6단계로 분류했다.
수업이 잘게 세분화하면서 상대평가에 따른 9등급제를 유지하면 선택한 학생의 숫자가 14명 미만인 과목의 경우 1~9등급이 고루 분류되지 않는 ‘등급 공백’ 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게 교과부의 설명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사용되는 ‘스태나인’(Standard Nine) 등급 분포 방식에 따르면, 1등급은 4%, 2등급은 7% 등과 같이 9개 등급별로 해당 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 비율이 정해져 있는데, 수강 인원이 최소 14명이 되어야 등급별로 1명 이상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수준별 수업이 국·영·수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강 인원이 적어 ‘등급 공백’이 발생하는 과목은 많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정훈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대변인은 “학교 현장에선 교과부 논리대로 학교가 수준별로 다양한 교과목을 운영할 수 있으려면 다양한 수업을 감당할 수 있도록 교원부터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며 “하지만 교과부는 수년째 교원 정원을 동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 ‘내신 부풀리기’ 막을 수 있나? 절대평가 방식이 도입되면 일선 학교가 시험 문제를 쉽게 내 ‘내신 부풀리기’가 만연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교과부는 성취도와 함께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도 기재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1996~2004년 실시했던 옛 절대평가 체제에서도 성취도(수·우·미·양·가)와 함께 석차, 같은 석차를 얻은 학생 수, 재적학생 수 등이 공개됐지만, ‘내신 부풀리기’를 막지는 못했다.
김준엽 홍익대 교수(교육학)는 “과거 절대평가 체제나 이번 절대평가 체제나 공개되는 정보 수준은 비슷하다”며 “내신 부풀리기를 피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는 점에서 성취도 표기만 한글에서 영어로 바뀌었을 뿐 과거의 절대평가와 다른 내용이 없다”고 말했다.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기업 임원으로 승진하면 달라지는 것들
■ [정석구 칼럼] ‘독재자의 딸’과 꽃가마
■ 냉방서 자며 폐지 모아 “전재산 기부”…위안부 할머니의 ‘마지막 나눔’
■ 반토막 난 ‘7·4·7 공약’…‘MB물가’는 22% 올라
■ 도요타 구원투수는 김태희·이민호?
이재훈 기자 na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대기업 임원으로 승진하면 달라지는 것들
■ [정석구 칼럼] ‘독재자의 딸’과 꽃가마
■ 냉방서 자며 폐지 모아 “전재산 기부”…위안부 할머니의 ‘마지막 나눔’
■ 반토막 난 ‘7·4·7 공약’…‘MB물가’는 22% 올라
■ 도요타 구원투수는 김태희·이민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