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훈 퀸즈랜드대 교수
무상교육·기한없는 실업수당…
노동자 우대 제도 저변에 깔려
무상교육·기한없는 실업수당…
노동자 우대 제도 저변에 깔려
“교육이 바뀌려면 전반적인 사회구조, 특히 임금구조를 바꿔야 합니다. 전 계층의 소득이 향상되어야 시민의식도 성숙해지고, 신분상승 욕구도 사라집니다.”
정재훈(53·사진) 퀸즐랜드대 교수(언어 및 비교문화학)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1년 동안 후학을 가르쳤다. 그는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가 대학 서열에 따라 ‘명문대 보내기’에 열을 올리는 사회적 분위기라고 했다.
그는 이를 바꾸기 위해 무엇보다 노동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선 취업을 할 때, 구직자들이 책 한 권 분량에 이르는 생애 이력서를 냅니다. 학교에 다니면서 아르바이트나 봉사활동, 현장학습 등을 경험하고, 일종의 활동증명서라 할 수 있는 ‘생큐 카드’라는 것을 받습니다. 이를 증빙자료 삼아 자신이 왜 이 직장에 적합한 인물인지를 설명하는 거죠. 한국의 입학사정관제가 이를 따라올 수 없는 건, 한국 학생들에겐 이런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시간이 없기 때문이죠.”
오스트레일리아는 국민들의 세금 부담이 많은 편이다. 1년 평균 소득이 오스트레일리아의 1인당 국민총생산(GNP)에 해당하는 6만오스트레일리아달러(한화 7200만원) 정도 되는 사람에게 적용되는 세율이 25% 정도라고 한다. “이 세금으로 무상의료와 무상교육을 실시하고, 실업수당 등을 받는 거죠. 실업수당은 기한 없이 나옵니다. 이 때문에 더 많이 벌기보다는, 기본적으로 일에 대한 즐거움이나 성취감 때문에 직업을 정합니다.”
그에게 “오스트레일리아는 자원이 풍부한 나라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 아닐까?”라는 물음을 던졌다. 정 교수는 고개를 저었다. “자원경제만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관광과 교육, 서비스업이 활성화되어 있고, 이 바탕에 노동자들을 우대하는 환경이 깔려 있습니다. 지하자원으로만 먹고사는 나라라는 건 오해예요.”
브리즈번/글·사진 이재훈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김태호 PD “파업 동참 이유는 가슴이 울어서…”
■ 새누리당도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한다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나경원, 고소는 하지 말았어야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 김태호 PD “파업 동참 이유는 가슴이 울어서…”
■ 새누리당도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한다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나경원, 고소는 하지 말았어야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