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국가수사본부가 지난 4월21일부터 2개월 동안 ‘대포폰’ 등 전기통신금융사기(보이스피싱 등) 범행수단 특별단속을 한 결과 2만7039대의 대포폰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전년도 적발 건수(3296대) 대비 8배 넘게 급증한 수치다.
대포폰은 등록 명의자와 실제 사용자의 다른 휴대전화로 보이스피싱 등 범죄에 악용된다. 경찰이 적발한 대포폰을 통신사별로 살펴보면 주요 3사(KT, LGT, SKT)가 아닌 알뜰폰 통신사가 92%(2만5142개)에 이르렀다. KT가 6%(1818개), LGT와 SKT, 유선 사업자가 나머지 2%(415개)를 차지했다.
대포폰의 명의자는 미얀마·베트남 등 외국인인 경우가 많았다. 전체 적발 대포폰 중 1만6023개(59%)가 외국인 명의였고, 1만455개(39%)가 내국인 개인 명의, 561개(3%)가 법인 명의의 대포폰이었다.
경찰 관계자는 “내국인 범죄자들이 외국인의 개인정보를 빼돌려 대포폰을 개설하고 유심칩 한 개에 1백만원 정도 가격에 팔아왔다”며 “알뜰폰 통신사를 통해 개설한 대포폰이 대부분으로 범죄자들이 제도적인 허점을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도 개선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하고, 산업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범죄를 예방하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며 “대포폰과 대포통장은 불법도박이나 보이스피싱 등 범죄와 연결돼 있어 계속 단속하겠다”고 밝혔다.
국수본은 이 밖에도 대포통장 4267개, 불법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 311개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범행수단 3만1617개를 적발하고 불법 환전 행위 15건(312억원)도 적발했다. 경찰은 이 과정에서 3359명(116명 구속)을 검거했다.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는 외국에서 걸려오는 ‘070’으로 시작되는 전화번호를 수신자들이 의심하지 않도록 ‘010’으로 바꿔주는 불법 기기다.
경찰은 하반기에도 특별 단속을 실시해 범죄에 이용되는 불법수단을 적발하고, 이를 악용한 전화금융사기 범죄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재호 기자
p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