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치와 동료 선수들의 집단 괴롭힘을 폭로한 뒤 극단적 선택으로 세상을 떠난 김포FC 유소년팀 선수 ㄱ군(16)의 유가족이 구단주인 김병수 김포시장과 면담했다. ㄱ군이 숨진 지 11개월 만이다.
28일 경기 김포시청에서 면담을 마치고 나온 ㄱ군의 아버지 ㄴ씨(48)는 “(괴롭힘 가해자로 지목된) 지도자들에 대한 해임과 아직 구단 내에 존재하는 추가 피해자들에 대한 조사 및 후속조치를 말씀드렸다”라고 밝혔다. 이어서 ㄴ씨는 “가장 시급한 것은 제 2·3의 피해자를 빨리 찾아내서 이 선수들을 치유해주는 쪽으로 먼저 (조치를) 하는 것”이라며 “가해 지도자들은 직무 배제가 아닌 해임을 통해 다시는 아이들에게 축구를 가르치지 못하게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김포 구단은 그간 지난해 4월 ㄱ군의 사망 뒤 유서에서 가해자로 특정된 코치들에 대해 “(징계 근거로 삼을 만한) 수사 기관의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며 징계를 미뤄왔고 지난해 11월에는
코치진과 계약을 연장했다. 지난 1월 스포츠윤리센터에서
감독과 코치들에 대한 징계 요청을 의결한 뒤에도 “관련 공문을 받지 못했다”며 요지부동이었던 구단은 지난 13일 뒤늦게 해당 감독과 코치 두 명에 대한
직무 배제 조치를 취했다. 사건 321일 만에 이루어진 분리 조치다.
유가족은 특정 지도자들이 유소년팀에서 직무를 이어가면서 진상규명을 더 어렵게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핵심 피해자가 사망해 직접 진술을 들을 수 없는 해당 사건의 특성상 주변 참고인들의 정확한 증언 확보가 조사의 핵심이었는데, 선수들의 시합 출전 여부, 대학 진학, 상벌 등에 전권을 쥐다시피 한 지도자들이 사건 이후에도 팀에 남아 있게 되면서 “참고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해 진술이 회유되고 오염되도록 ‘2차 가해’가 가능한 상황을 구단이 조장했다”는 지적이다.
실제 스포츠윤리센터의 조사 자료에서는 ㄱ군 이외 또 다른 선수에 대한 추가 피해 정황이 확인된다. <한겨레>가 입수한 윤리센터 심의위원회 결정문과 참고인 진술서를 보면 선수들에게 욕설을 뱉으며 물병을 집어 던지는 등 행위와 강제 삭발, 휴대전화 압수 등 기본권을 침해하는 벌칙이 기준 없이 남발됐다는 내용이 나온다. 피해 선수 중 한 명은 결국 구단을 나와 다른 팀으로 이적했으나 여전히 정신적 고통을 호소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포시청 관계자는 면담 이후 <한겨레>와 통화에서 “그간 시장님이 구단에서만 보고를 받다가 사건이 여론화되면서 (유가족에게) 먼저 연락을 드렸다. 유가족 입장을 들었고 어려움에 충분히 공감했다. 시에서 가능한 사항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포/박강수 기자
turn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