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무원 퇴출 과정
오세훈 시장 “유럽 프로축구 리그처럼”
서울시가 무능한 공무원을 재교육한 뒤 퇴출 여부를 심사하는 ‘현장시정추진단’ 규모를 102명으로 확정했다. 102명은 소방공무원 5257명을 뺀 서울시 전체 공무원 9937명의 1% 규모다.
시는 이 가운데 이미 퇴직 신청을 한 6명과 정신건강 진단 등 치료지원이 필요한 16명을 빼고 80명을 재교육에 우선 배치하기로 했다. 서울시소방방재본부는 퇴출 절차를 별도로 진행해 153명의 후보 가운데 최종 대상자를 가리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4일 “현장시정추진단은 부족한 역량을 높이려는 것”이라며 “1~2부 리그를 오가는 유럽 프로축구처럼 퇴출과 재진입으로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또 인사쇄신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상시 평가시스템 구축 △개방형 인사제 확대 등 후속 대책을 다음달 말까지 마무리짓겠다고 밝혔다.
‘3% 의무 할당’ 논란은 이번이 마지막이 된다. 권영규 시 행정국장은 “현장시정추진단은 다음 인사 때도 유지되겠지만 실·국·사업소별로 퇴출 명단을 의무적으로 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현장시정추진단에 포함된 이는 직급별로는 3급 1명, 4급 2명, 5급 6명, 6급 이하 93명이 선정됐다. 연령별로는 30대 5명, 40대 36명, 50~54살 43명, 55살 이상 18명이고, 성별로는 남성이 92명, 여성이 10명이다.
이들은 5일 아침 한 장소에 모여 단체로 교육 장소로 이동한다. 하는 일은 애초 알려진 담배꽁초 줍기, 주차단속 등이 아니라 사회봉사, 교통표지판 정비 조사 등이다. 또 여섯달 뒤 이뤄지는 최종 퇴출 결정에는 절대평가가 적용돼 이들 모두가 일반 보직으로 복귀할 가능성도 있다. 정세라 기자 sera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