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례 파문’이 한나라당 밖 친박 진영을 균열시키고 있다.
검찰이 양 당선인의 ‘돈 공천’ 혐의와 허위 경력 의혹을 본격 조사하면서 친박연대 내부에선 서청원 대표에 대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홍사덕 전 선거대책위원장은 “지금 보통 기분 나쁜 게 아니다”며 “호미로 막을 일을 이렇게 키웠다”고 말했다. 함승희 최고위원도 “사실상 혼자 (비례대표 공천을) 독단한 서청원 대표와 김노식 최고위원, 그리고 양정례 당선자 그 세 명의 문제지, 거기에 당의 진로를 갖다 붙일 이유가 없다”고 불만을 표출했다. 송영선 대변인조차 “모든 문제는 서 대표에게 물어보라”고 한다. 당직자들은 “박근혜 전 대표를 위하자고 만든 당이 외려 그의 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있다. 부끄럽다”고 자조하기도 한다.
친박 무소속 연대 쪽도 친박연대와 거리를 두려 한다. 좌장격인 김무성 의원은 거듭 “친박연대와는 한식구니까 늘 같이 행동할 것”이라며 한나라당 동시 복당을 강조했지만 다른 당선자들의 기류는 사뭇 다르다. 수도권의 한 당선인은 “내부에선 친박연대와 함께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은 부담스럽다는 주장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서청원 대표에 대한 거부 분위기도 강하다는 게 친박 무소속 연대 당선자들의 전언이다. 이런 배척 기류 탓에 친박 무소속 연대는 친박연대와의 교섭단체 구성에 대한 내부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 연대가 결국 다시 ‘각자도생’하는 상황에 처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