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위, 미국 정부와 협의·위령사업 지원 권고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한국전쟁 때 경기 일대와 포항 흥안리, 의령 등지에서 미군 폭격으로 민간인 134명이 희생된 것으로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에 규명된 3건의 미군폭격 민간인 희생 사건은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8월부터 이듬해 초까지 북한군과 중공군의 남하를 막고 고립된 국군의 철수를 돕기 위한 작전 수행 과정에서 발생한 일이다.
진실화해위 조사 결과, 경기지역에서는 1951년 1∼2월 중공군 은신처로 추정되는 마을을 미군이 폭격하는 과정에서 민간인 47명이 희생됐고, 의령에서는 1950년 8월 인민군 은신처를 폭격하는 과정에서 낙동강 인근 마을 주민 69명이 숨졌다. 포항 흥해읍 흥안리에서는 1950년 8월 미 해군이 국군 3사단 해상철수 작전을 엄호하기 위해 공중폭격을 가해 주민 18명이 사망했다. 흥안리의 경우 미 해군이 사전 정찰을 통해 민간인 마을과 피난민이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으며, 미군이 정찰 및 공중 폭격 과정에서 군인과 민간인을 구별하려는 노력을 충분히 기울이지 않았다고 진실화해위는 설명했다.
진실화해위 관계자는 “사전경고나 주민 대피 노력 없이 무차별 폭격한 것은 국제 인도법은 물론 당시 미군 교범에도 위반된다”고 말했다. 진실화해위는 희생된 피해자 구제를 미국 정부와 협의하고 위령사업을 지원할 것을 국가에 권고했다.
정유경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