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등 네 야당 지도부와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1일 저녁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폭력살인 진압 규탄 및 이명박 악법 저지를 위한 국민대회’를 마친 뒤 명동을 향해 행진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야당-시민사회 공동 ‘22년만의 대규모 반정부 집회’
‘용산 참사’와 관련해 주요 시민·사회단체와 야당이 함께 주최한 대규모 집회가 1일 저녁 서울 도심에서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야당들과 시민·사회 진영이 손을 잡고 대규모 정치집회를 연 것은 ‘반독재 연합전선’을 꾸렸던 1987년 ‘6·10 항쟁’ 이후 처음이다.
“왜 경찰과 한나라당만 아니라고 합니까”
[%%TAGSTORY1%%]
이날 오후 서울 청계광장에서는 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 등 네 야당과 400여 시민사회 단체로 구성된 민생민주 국민회의,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 미디어행동 등이 함께 주최한 ‘폭력살인 진압 규탄 및 이명박 악법 저지를 위한 국민대회’가 열렸다. 이들은 공동 선언문에서 “이번 참사는 대다수 서민들이 아니라 1% 강부자-특권층을 위한 막가파식 정책과 촛불운동 이후 전면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공권력의 폭력적 행태가 맞물려 벌어진 일”이라며 “용산 참사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확산되고 있지만 정부와 여당은 이를 외면하고 2월 임시국회에서 비정규직 법안 등 각종 악법을 밀어붙이는 데 골몰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날 집회에는 민주당 정세균, 민주노동당 강기갑, 진보신당 심상정 등 세 야당 대표가 참석했다. 이들은 공동 회견과 추모 문화제가 끝난 뒤 ‘서민을 살려내라’는 펼침막을 들고 명동성당까지 거리행진을 벌인 뒤 저녁 8시께 자진해산했다. 경찰은 115개 중대 1만여명을 서울 곳곳에 배치했으며, 시위대와 경찰 사이에 몸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2명과 5살 어린이 등 시민 2명이 다쳐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천주교·불교계 등 종교계의 추모 행사도 잇따르고 있다.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연합 등 천주교 단체들이 지난 31일 용산 참사 현장에서 추모 미사를 연 데 이어 2일 저녁에는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이 서울 청계광장에서 시국 미사를 열 계획이다. 불교계도 오는 5일 시국 법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31일 청계광장 등지에서는 용산 참사 희생자 유족 등 8천여명(경찰 추산 21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2차 범국민 추모대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는 경찰이 경찰버스 등을 이용해 광장 진입을 원천봉쇄해 인근 도로에서 진행됐으며, 명동성당까지 찻길을 따라 거리행진을 벌이는 과정에서 경찰과 대치하다 5명이 연행됐다. 정유경 송경화 기자 edge@hani.co.kr

앞서 31일 청계광장 등지에서는 용산 참사 희생자 유족 등 8천여명(경찰 추산 21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2차 범국민 추모대회가 열렸다. 이날 집회는 경찰이 경찰버스 등을 이용해 광장 진입을 원천봉쇄해 인근 도로에서 진행됐으며, 명동성당까지 찻길을 따라 거리행진을 벌이는 과정에서 경찰과 대치하다 5명이 연행됐다. 정유경 송경화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