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권 들어 재정적 위협
“기업들, 정부 눈치 보는듯”
15돌맞아 오늘 ‘후원의 밤’
“기업들, 정부 눈치 보는듯”
15돌맞아 오늘 ‘후원의 밤’
1994년 가을, “권력을 감시하고 구체적 대안을 제시하겠다”(창립선언문)며 첫걸음을 뗐던 ‘참여연대’가 최근 15살이 됐다. 시민의 힘으로 움직이는 대표적 시민단체로 성장했지만, 발걸음은 좀더 무거워진 상황이다.
참여연대는 창립 회원 304명에서 출발해 올해 9월 현재 1만461명으로 회원수가 늘어났다. ‘회비 1만원’은 변하지 않았지만 물가 탓에 당시 ‘목돈’에서 이제 ‘쌈짓돈’이 됐다. 애초 14명이던 상근자가 45명으로 늘었고, 자원활동가는 전문가(250여명)와 일반 시민(200여명)을 합쳐 450여명에 이른다. 일찍이 ‘재정 자립’을 추구해, 국민의 정부 시절이던 1998년부터 오히려 정부 보조금에서 손을 끊었다. 정부가 내놓는 각종 프로젝트도 따지 않았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 새로운 재정적 위협이 등장했다. 해마다 참여연대 살림살이의 4~5%(8000만원 안팎)를 짊어져준 기업 후원금이 지난해부터 사실상 사라진 것이다. 참여연대는 한 해 한 차례 300만원 한도에서 기업 후원금을 공개적으로 받아 왔다. 큰 부담이 아니겠으나, 어느 순간 기업들은 일제히 발길을 끊었다. 참여연대가 내는 잡지 <참여사회>에 광고를 하던 기업도 7~8곳에 이르렀으나 이제는 1~2곳밖에 남지 않았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기업들이 정부에 ‘쓴소리’를 하는 참여연대에 후원하는 데 눈치를 보는 듯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참여연대는 ‘개인 후원’ 쪽에 기대를 걸고 있다. 해마다 창립일을 즈음해 열리는 ‘후원의 밤’이 올해도 15일 저녁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날자, 민주주의야’라는 이름으로 열린다.
한편 참여연대는 창립 15돌을 맞아 ‘권력감시운동 2기’에 들어선다는 방침이다. 그동안 참여연대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등의 입법청원과 공익 제보자에 대한 보복 행위 손해배상 청구 등 공익 소송활동을 벌여왔다. 김민영 사무처장은 “권력기관이 권력자의 눈치를 보는 이런 시점에 참여연대의 창립정신인 ‘권력 감시’가 더욱 강화돼야 한다”며 “대학생 등록금, 전세대란, 실업자 문제 등 시민들이 일상에서 겪는 고통도 주요 의제로 삼아 굽힘 없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