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면·해임 등 52→107건…서울경찰청 최다
올해 들어 뇌물 수수로 징계받은 경찰관의 수가 지난해보다 두 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김희철 민주당 의원이 4일 내놓은 ‘지난 5년간 수뢰 경찰관 징계 결과’ 자료를 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뇌물수수로 경찰이 징계를 받은 사건은 모두 138건에 이르렀다. 이는 지난 한해(72건)와 견줘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특히 파면·해임 등 중징계가 지난해 52건에서 올해 107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전체 138건의 징계 가운데 중징계 처분이 된 사건이 107건(77.5%)이나 돼, 뇌물 액수 등이 커졌음을 방증했다.
계급별로 보면, 고위직(경위 이상)과 하위직 모두 징계 건수가 늘어 뇌물 수수에 계급 구분은 없었다. 특히 지난 2006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경감(무궁화 2개) 이상 간부들의 징계 건수가 지난해 4건에서 올해에는 14건으로 크게 늘었다. 일선 경찰서장(총경) 이상 고위직 경찰관 가운데 징계를 받은 사람은 2명이었다.
유형별로는 사건·교통사고와 관련된 뇌물 수수가 조금 늘거나 오히려 줄어든 반면, 유흥업소·오락실 등에서 금품을 받은 사례는 지난해 35건에서 올해 54건으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서울경찰청이 올해 63건으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고, 경기경찰청이 32건으로 2위를 차지했다. 반면 경찰청(본청)과 제주·강원경찰청은 징계 사례가 없었다.
김희철 의원은 “유흥업소에 단속 정보가 미리 샌다는 이야기가 사실일 가능성을 보여주는 자료”라며 “경찰은 더욱 엄격히 기강을 바로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