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의 방한을 하루 앞둔 8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 정부의 사죄 및 배상 등을 촉구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의 방한을 앞두고, 30여개의 시민단체들이 8일 식민지배에 대한 진상 규명과 공식 사죄, 배상 등 ‘과거사 청산’을 공동으로 요구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등 시민단체 회원 6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진실규명 없는 화해는 공허할 수밖에 없다. 식민지배와 전쟁범죄에 대한 진상 규명, 공식 사죄와 배상 등 과거 청산의 구체적 방안을 밝혀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특히 “자료 공개 없이 한-일 과거사 청산은 불가능하다”며 “일본 정부는 미지불임금자 명부, 재일 학살 희생자, 한-일 협정 관련 문서 등 일본제국주의 범죄행위와 관련된 미공개 자료들을 무조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정대협과 함께 전국일제피해자연합회,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한·일·재일시민연대’, 민족문제연구소 등 30여곳이 참여했다. 과거사 관련 시민단체들이 이처럼 대규모로 한목소리를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과거사 청산의 구체 방안으로 △1964년 한-일 협정 체결 과정에서 배제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피해자, 재한 원폭피해자 등에 대한 사죄와 배상 △강제징용 희생자 등의 유골 송환 △야스쿠니신사 강제 합사 사과 △과거사 청산을 위한 특별법 제정과 한-일 민관공동조사위원회 설치 등을 요구했다.
강주혜 정대협 사무처장은 “1995년 무라야마 총리 시절에도 과거청산에 대한 기대가 높았지만 흐지부지됐다”며 “이명박 정부도 한-일 과거사에 대한 사죄·진상규명·배상이 없는 상태에서 과거사 청산 선언에 나선다면 국민적 지탄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