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진상규명위 활동 종료]
김성수·방응모 포함…박정희·장지연은 제외
김성수·방응모 포함…박정희·장지연은 제외
국가기구인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약칭 반민규명위·위원장 성대경)가 김성수 <동아일보> 창업주와 방응모 전 <조선일보> 사장 등 704명이 일제시대 말기 ‘친일·반민족행위’를 했다고 결정하고, 그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공개했다. 반민규명위는 이를 끝으로 4년6개월에 걸친 활동을 모두 종료했다.
반민규명위는 27일, 제3차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보고서’를 내어 “일제강점기 막바지에 친일행적을 보인 이들 가운데 704명의 행위가 법이 정한 ‘친일·반민족행위’에 해당된다고 결정했다”며 “기존에 발표된 301명을 더하면 모두 1005명이 일제시대에 친일반민족행위를 한 것이 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는 김성수 창업주 외에도 노기남 천주교 대주교, 모윤숙 시인, 김활란 이화여대 초대 총장 등이 포함됐다. 지난 8일 민간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 등이 내놓은 <친일인명사전>은 일제강점기 4389명의 친일행적을 기록하고 있어, 이번 보고서와 3000여명 정도 차이가 난다.
논란을 빚고 있는 박정희 전 대통령과 장지연 <황성신문> 주필은 증거 부족 등을 이유로 이날 발표 내용에 들어가지 않았다. 작곡가 홍난파도 유족들이 “더 따져봐야 한다”며 서울행정법원에 낸 가처분신청이 받아들여져 친일반민족행위 결정이 유보됐다.
2005년 5월 발족한 반민규명위는 이날 발표를 끝으로 활동을 마쳤으며, 2만1000여쪽(전 25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보고서를 남겼다.
성대경 반민규명위 위원장은 “이후에도 사료관 건립 등 지속적인 자료수집과 연구가 필요하다”며 “동아시아 국제질서에 뿌리깊게 남은 제국주의 잔재를 청산하고, 아물지 않은 상처 치유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홍석재 김민경 기자 forchi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