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일 오후 달성보 건설 예정지인 대구 달성군 논공읍 낙동강 둔치에서 열린 ‘낙동강 살리기 희망 선포식’에 참석하려고 김관용 경북지사(앞줄 왼쪽), 김범일 대구시장(앞줄 오른쪽) 등 이 지역 단체장들과 함께 행사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대구/청와대사진기자단
박근혜 지역구서 ‘낙동강 살리기 희망선포식’
소수 한나라 의원 참석…반대여론 60% 넘어
소수 한나라 의원 참석…반대여론 60% 넘어
이명박 대통령이 2일 대구 달성군 달성보 건설현장에서 열린 ‘낙동강 살리기 희망 선포식’에 참석하는 등 연일 4대강 사업 띄우기에 앞장서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축사에서 4대강 사업과 관련해 “과거를 기준으로 한 낡은 생각과 정치 논리로는 결코 미래를 열 수가 없다”며 “‘반대를 위한 반대’는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물과 관련한 사업은 신속하게, 할 때 집중적으로 해야 예산 낭비도 줄이고 사업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지역구인 달성보 건설 현장을 이 대통령이 직접 찾은 것은 의미가 적잖다는 분석이다. 세종시 수정 방침뿐 아니라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박 전 대표에 대해 정치적으로 압박하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지난 22일 민주당 텃밭인 광주에서 열린 ‘영산강 살리기 희망 선포식’에 참석한 것과 결부해 이날 달성보 현장 방문을 ‘반대파 심장부 공략 작전’으로 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축사에서 세종시 수정과 관련한 대구·경북지역의 반발을 누그러뜨리려 애썼다. 이 대통령은 이날 혁신도시, 기업도시와 관련해 “일부에서는 세종시 때문에 이들 계획이 위축될 것이라는 걱정을 하고 있으나 전혀 그런 일은 없을 것임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세종시에 혜택을 빼앗길 것이라는 정서가 가장 강한 곳이 대구·경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대통령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 대구·경북지역 한나라당 소속 의원 상당수가 불참하는 등 분위기는 다소 썰렁했다. 대구·경북지역 의원 21명 가운데 참석자는 서상기·이병석·김태환·조원진·이한성 의원 등 5명에 불과했다.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나머지 의원들은 국회 일정 등을 이유로 불참했다. 친박 진영의 한 의원은 “오라는 연락이 있었으면 참석은 했겠지만 연락조차 없었다”며 “참석했다고 하더라도 정서적으로는 (이 대통령과) 좀 다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지난 27일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이 대통령이 로봇 물고기를 등장시키는 등 4대강 홍보에 대대적으로 나섰는데도, 4대강 사업에 대한 여론 역시 좋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지난달 30일 실시한 조사에서 4대강을 ‘계획대로 추진해야 한다’는 응답은 31.8%인 반면, ‘지금이라도 중단해야 한다’가 40.8%, ‘규모를 축소해서 추진해야 한다’가 19.8%로, 부정적 의견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같은 날 실시한 조사에서도 ‘계획대로 추진’(29.8%)보다 ‘중단’(34.1%) 이나 ‘축소 추진’(33.1%)이 갑절을 넘었다.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