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 못할 ‘위클리 공감’
4대강·세종시·언론법…정부 홍보지 낯뜨거운 옹호 일색
문화부 한해 10억 쓰는데
청와대 또 소식지 추진
예산 낭비·중복 비판 일어 정부가 ‘정책 홍보’를 위해 매주 7만부씩 발행하고 있는 잡지 <위클리 공감>이 일방적으로 편향된 내용을 담고 있어 시민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일 발행된 <위클리 공감>(39호)을 보면, 전체 68쪽 가운데 5쪽에 걸쳐 ‘국가미래 위해 세종시 수정해야’라는 제목으로 세종시 문제를 다뤘다. 이 기사는 이명박 대통령이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언급한 내용을 소개하면서, 국민 반응으로 “욕을 먹더라도 나라를 위한 용단을 내렸다” “대통령의 설명을 직접 들으니 정책에 대한 의구심이 많이 해소됐다”는 등 찬성 의견만 실었다. ‘4대강 사업’ 홍보 만화도 32회째 실렸는데, 4대강 사업 이후 주변이 훌륭한 데이트 코스가 될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앞서 이 잡지는 지난 7월 ‘미디어법’을 둘러싸고 여야가 충돌하고 있음에도, 21호에서 미디어법이 가져올 산업적 효과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뤘다. 지난달 4일 발행된 35호는 미디어법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해 ‘헌재, 미디어법 유효 결정…경쟁력 있는 채널 는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헌재가 유효 결정을 내렸다고 썼다. 지난 6월19일 발행된 16호는 전부 4대강 살리기를 홍보하는 특집기사로만 채워지기도 했다. 정부는 지난 3월, 정책홍보지로서 격주마다 3만부씩 발행하던 <코리아 플러스>를 주간인 <위클리 공감>으로 바꿨다. 지난 7월부터는 발행부수도 7만부로 늘렸다. 이 잡지를 발행하는 데 드는 한 해 예산만 10억7000만원이다. 뿐만 아니라 청와대 대통령실에서 직접 집행하는 홍보사업인 ‘국정평가관리’ 가운데 2010년 새로 들어간 ‘정책소식지 발간’ 항목에도 7억3000만원의 예산이 책정된 것으로 드러나 <위클리 공감>과 중복된다는 비판도 일고 있다. 시민들은 이 잡지 내용에 “공감할 수 없다”는 반응이 많았다. 4일 낮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의 한 우체국에서 만난 이아무개(32)씨는 “이런 잡지가 있는지도 몰랐다”며 “내용을 보니 일방적인 정부시책 홍보인데, 예산을 낭비하지 말고 설득력 있는 정책을 내놓는 게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