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총리(뒷줄 가운데)가 14일 오후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세종시 입주예정 기업 및 대학 양해각서 체결식’에서 기업과 대학 대표자들과 밝은 표정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앞줄 오른쪽 둘째)과 권태신 국무총리실장(앞줄 왼쪽 둘째) 등이 양해각서에 서명하고 있다.(위 사진)
박영강 동의대 교수(맨 오른쪽) 등 학계·문화계 인사들이 14일 오전 서울 중구 정동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지역균형발전과 행복도시 정상추진을 위한 지식인 선언’을 발표하고 있다. 오른쪽 둘째부터 조수종 충북대 명예교수, 조명래 단국대 교수, 박재율 시인, 이종만 안양대 명예교수. 신소영,viator@hani.co.kr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세종시 후정안 후폭풍
교수·시인 등 “원안대로 추진을” 선언문 발표
세종시 주민 서울집회 “정권심판 투쟁할 것”
교수·시인 등 “원안대로 추진을” 선언문 발표
세종시 주민 서울집회 “정권심판 투쟁할 것”
전국의 지식인 794명이 이명박 정부에 세종시 수정안을 철회하고 원안을 정상 추진하라고 요구하는 선언을 발표했다.
전국의 교수와 학자, 시민단체 활동가 등은 14일 오전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지역균형발전과 행복도시 정상추진을 위한 지식인 선언’이란 이름의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과 한나라당은 졸속으로 마련한 교육과학도시 구상을 철회하고 행복도시의 정상 추진을 국민 앞에 다시 약속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선언에서 ‘세종시 수정안의 주요 내용 및 문제점’을 발표한 변창흠 세종대 교수는 “수정안은 두 달 만에 졸속으로 마련돼 문제점이 대단히 많고 세종시의 목적인 지역 균형발전 효과가 전혀 없다”며 “국책 연구기관과 전문가들이 행정도시 수정안에 강제 동원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지적 수준을 거꾸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변 교수는 또 “세종시 수정안에서는 지역 균형발전 효과의 추계조차 하지 않았다”며 “다른 혁신도시나 기업도시에 동일한 인센티브를 적용하더라도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은 교육과학 중심도시가 선호돼 지방 도시들은 고사하고 말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도 “정부의 세종시 백지화 밀어붙이기와 일방적인 수정안 발표에도 불구하고 여론조사의 수정안 찬성률이 40~50%에 그친 것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며 “원안 건설 외에 대안은 없다”고 못박았다. 이날 지식인 선언에는 박재율 시인, 이종만 안양대 명예교수, 박영강 동의대 교수, 조수종 충북대 명예교수, 충남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이상선 상임공동대표 등 794명이 연대 서명했다.
이날 오후 서울역에서는 충남지역 이·통장 1500여명이 ‘세종시 수정안 전면거부 및 행정도시 원안추진 결의대회’를 열었다. 충남의 이·통장들은 “수정안은 지방사망 부고장이며, 행정도시가 원안대로 건설되지 않으면 지방은 영원히 수도권의 수탈 대상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지방을 무시하고 지역민을 천대하는 정부는 국민의 정부가 아니다”라며 “그동안 이명박 정권에 농락당한 만큼 원안사수 투쟁과 함께 정권심판 투쟁을 벌이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충남도 의회의 자유선진당 소속 송덕빈·고남종·김석곤·박종근·김동일·유병기 의원은 이날 이인화 지사 권한대행이 “국정 안에 도정이 있다”며 수정안 지지 입장을 밝히자 이에 항의하며 삭발했다. 또 대전역~충남도청 거리에서 김원웅 민주당 대덕지구당 위원장과 당원들이 이틀째 원안사수 삼보일배를 했고, 같은당 선병렬 시당 위원장은 대전역 천막농성장에서 사흘째 수정안 반대 단식을 계속했다. 이날도 조치원역 광장에서는 행정도시사수 연기군대책위가 여는 촛불집회가 열렸다.
대전/송인걸, 송채경화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