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민노당 가입·당비 낸 혐의
수사팀 15명으로 늘려
수사팀 15명으로 늘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 주요 간부들이 민주노동당에 가입하고 매달 일정 금액을 제공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 등) 등을 수사중인 경찰이 27일 두 노조에 소속된 224명에게 추가로 출석요구서를 발송했다. 이에 따라 경찰의 출석요구 대상이 모두 293명으로 늘어나는 등 파장이 커지고 있다.
서울 영등포경찰서는 이날 “지난 25일 민주노동당에 가입하고 정당 계좌에 돈을 낸 것으로 보이는 전교조와 전공노 조합원 69명에게 1차로 출석요구를 한 데 이어, 추가로 224명에 대해 출석요구서를 발송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이와 함께 민주노동당 회계 책임자를 다음달 1일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또 경찰은 진보신당에도 회비를 납부한 조합원이 있다고 밝혀, 정치권으로 수사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경찰은 혐의자들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은 뒤 지난해 10~11월 계좌추적을 벌여 증거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28일부터 현재 5명인 수사팀을 15명으로 늘리고 본격적인 수사에 나선다.
이에 대해 엄민용 전교조 대변인은 이날 “경찰이 마치 전교조가 조직적으로 민주노동당에 가입하고 돈을 댄 것처럼 몰아가는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공무원·교사 탄압저지 공동대책위원회’와 민생민주국민회의 참여단체는 지난 26일 공동성명을 내어 “교사 시국선언 무죄 판결 일주일 만에 터져 나온 이 사건은 현 정권이 교사와 공무원의 시국선언을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정치활동으로 엮어 보려는 야비한 음모에서 기인한 것”이라며 “정권의 공무원노조, 전교조 말살과 민주주의 유린 행위를 묵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