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9일부터 교육부와 논의
“졸속처리 반대 총궐기 병행”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8일 열린 중앙집행위원회에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안한 교원평가 관련 협의체 구성를 위한 협상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교원평가를 둘러싸고 전면 대결로 치닫던 정부와 교원단체들이 대화를 통해 타협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교조의 한 관계자는 이날 중앙집행위 회의가 끝난 뒤 “교원평가 방안을 논의할 협의체를 어떻게 구성하고, 협의체에서 어떤 내용을 논의할지 등에 대해 교육부와 협상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중앙집행위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교총과 의견을 조율한 뒤, 이르면 9일부터 교육부와 본격적으로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협상에 참여한다고 해서 교원평가 저지 투쟁을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며 “협의체 참여 여부와 상관 없이 오는 25일 교총과 함께 열기로 한 ‘졸속 교원평가 저지 및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원 총궐기대회’는 예정대로 강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대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교원평가 시범실시 시기다. 전교조와 교총은 시범실시 시기를 9월1일로 못박아 놓은 채로는 더이상 논의를 진전시키기 어렵다는 태도다. 교총 관계자는 “교총과 전교조, 학부모단체들의 입장이 다른데 9월1일까지 합의안을 만드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반면, 교육부 관계자는 “시범실시 시기를 못박지 말라는 것은 결국 시범운영을 포기하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라며 “시범실시를 해가면서도 얼마든지 의견을 개진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데도 교원단체가 너무 고집을 부린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교육부는 지난 3일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 마련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교원평가 방안 △교원 법정정원 확보 방안 △교원 양성·연수제도 개선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졸속처리 반대 총궐기 병행”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8일 열린 중앙집행위원회에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안한 교원평가 관련 협의체 구성를 위한 협상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교원평가를 둘러싸고 전면 대결로 치닫던 정부와 교원단체들이 대화를 통해 타협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교조의 한 관계자는 이날 중앙집행위 회의가 끝난 뒤 “교원평가 방안을 논의할 협의체를 어떻게 구성하고, 협의체에서 어떤 내용을 논의할지 등에 대해 교육부와 협상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중앙집행위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교총과 의견을 조율한 뒤, 이르면 9일부터 교육부와 본격적으로 협상에 나설 계획이다. 전교조 관계자는 “협상에 참여한다고 해서 교원평가 저지 투쟁을 중단하는 것은 아니다”며 “협의체 참여 여부와 상관 없이 오는 25일 교총과 함께 열기로 한 ‘졸속 교원평가 저지 및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교원 총궐기대회’는 예정대로 강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대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교원평가 시범실시 시기다. 전교조와 교총은 시범실시 시기를 9월1일로 못박아 놓은 채로는 더이상 논의를 진전시키기 어렵다는 태도다. 교총 관계자는 “교총과 전교조, 학부모단체들의 입장이 다른데 9월1일까지 합의안을 만드는 게 가능하겠느냐”고 반문했다. 반면, 교육부 관계자는 “시범실시 시기를 못박지 말라는 것은 결국 시범운영을 포기하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라며 “시범실시를 해가면서도 얼마든지 의견을 개진하고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데도 교원단체가 너무 고집을 부린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교육부는 지난 3일 교원단체, 학부모단체,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 마련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교원평가 방안 △교원 법정정원 확보 방안 △교원 양성·연수제도 개선 방안 등을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 이종규 기자 jk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