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락 검찰소환 강희락 전 경찰청장이 ‘함바집 로비’ 의혹과 관련해 검찰 조사를 받으려고 10일 오후 서울 광진구 자양동 서울동부지방검찰청에 들어서면서 취재진의 질문에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강희락·이길범 등 경찰간부에 ‘문어발 로비’
방위사업청장·정치인·청와대까지 연루의혹
방위사업청장·정치인·청와대까지 연루의혹
‘브로커 유씨 로비’ 파문 확산
건설현장 노동자들이 일터에서 식사를 ‘해결’하는, 300㎡ 안팎인 식당 ‘함바집’의 이권과 관련된 비리 수사가 전·현직 정·관계 인사들의 등장으로 사회적 파장을 낳고 있다.
사건은 함바집과 고질적 유착관계로 잘 알려진 건설사 임원들에 대한 수사에서 비롯됐다. 한화건설 이아무개 대표이사와 에스케이(SK) 건설 김아무개 사장 등 재벌 건설사 관련자들이 수사 대상에 올라 처벌을 받았다.
하지만 이번 수사의 핵심이자 ‘함바집 브로커’인 줄 알았던 유상봉(65·구속 기소)씨가 전직 경찰 총수 등 경찰 최고위 간부들에게 ‘문어발식 로비’를 했다는 진술을 내놓으면서 사건의 양상은 180도 바뀌었다. 유씨가 강희락 전 경찰청장과 이길범 전 해양경찰청장 등에게 수천만원~억대의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이 나왔고, 강 전 청장은 실제로 10일 서울동부지검에 피의자로 소환됐다.
더욱이 유씨가 강 전 청장에게 경찰관 인사 청탁을 하며 돈을 건넨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건은 단순 비리 차원을 넘어섰고, 유씨도 식당 브로커가 아니라 다양한 인맥을 동원해 정·관계에 폭넓은 로비를 한 ‘거물 브로커’로 떠오르는 상황이다.
유씨가 연루된 사건은 10일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팀의 배건기 감찰팀장한테도 돈을 건넸다’는 진술 사실이 알려지고, 배 팀장이 사직서를 제출함으로써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유씨의 로비 범위가 단순히 건설사 간부나 경찰관뿐 아니라 현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인사로 이어진 게 아니냐는 의혹 때문이다. 이와 함께 현재 공기업 사장으로 있는 ㅊ씨와 차관급인 장수만 방위사업청장 등이 거론되는 것도 심상치 않은 대목이다.
민주당 조영택 의원이 유씨에게서 후원금 500만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정치인들의 이름도 오르내리고 있다. 결국 유씨가 경찰과 고위 공무원 등을 서로 연결하며 이권을 중개한 것 아니냐는 추측도 가능한 대목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유씨가 돈을 건넸다고 진술한 이들 모두가 비리 혐의로 처벌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유씨와 접촉한 사실이 드러나더라도 혐의 입증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유씨가 인맥을 과시하려고 고위직 인사들의 이름을 많이 팔고 다녔다는 주변의 전언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실제 검찰은 “언론에 거론되는 인물 가운데 (수사 대상이) 아닌 사람도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곳은 경찰이다. 전직인 강 전 청장뿐 아니라 현직인 김병철 울산경찰청장, 양성철 광주경찰청장까지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사 대상에 올라 있는 이들은 혐의를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조현오 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두 지방경찰청장이 수사 선상에 오른 상태지만, 아직 검찰이 기소를 하지 않은 상황인데다 당사자들이 부인하고 있어 일단 대기발령 성격을 띤 임시 조처로 경찰대학 산하 치안정책연구소로 발령을 냈다”며 “비위 사실이 실제와 달라 기소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직위에 복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여당마저 MB에 ‘반기’…레임덕 앞당기나
■ 점점 커지는 ‘함바집 로비’…‘유상봉 리스트’ 더 있나
■ 사료·도축 차량 ‘막출입’…바이러스 뿌리고 다닌 셈
■ 폭력 사태 소망교회에 장로 대통령 위로전화?
■ 민주 “검찰, 증인 한만호씨 부모 찾아가 협박”
■ 음반 대박 JYJ, 가요프로에선 왜 안보여?
■ ‘남지성-북대세’ 카타르도 관심 집중
‘함바집 로비’ 의혹 사건 흐름도
하지만 일부에서는 유씨가 돈을 건넸다고 진술한 이들 모두가 비리 혐의로 처벌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유씨와 접촉한 사실이 드러나더라도 혐의 입증이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유씨가 인맥을 과시하려고 고위직 인사들의 이름을 많이 팔고 다녔다는 주변의 전언도 이런 관측을 뒷받침한다. 실제 검찰은 “언론에 거론되는 인물 가운데 (수사 대상이) 아닌 사람도 있으니 신중하게 접근해달라”고 주문하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곳은 경찰이다. 전직인 강 전 청장뿐 아니라 현직인 김병철 울산경찰청장, 양성철 광주경찰청장까지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수사 대상에 올라 있는 이들은 혐의를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조현오 경찰청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두 지방경찰청장이 수사 선상에 오른 상태지만, 아직 검찰이 기소를 하지 않은 상황인데다 당사자들이 부인하고 있어 일단 대기발령 성격을 띤 임시 조처로 경찰대학 산하 치안정책연구소로 발령을 냈다”며 “비위 사실이 실제와 달라 기소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직위에 복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여당마저 MB에 ‘반기’…레임덕 앞당기나
■ 점점 커지는 ‘함바집 로비’…‘유상봉 리스트’ 더 있나
■ 사료·도축 차량 ‘막출입’…바이러스 뿌리고 다닌 셈
■ 폭력 사태 소망교회에 장로 대통령 위로전화?
■ 민주 “검찰, 증인 한만호씨 부모 찾아가 협박”
■ 음반 대박 JYJ, 가요프로에선 왜 안보여?
■ ‘남지성-북대세’ 카타르도 관심 집중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