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을 낳고 있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역사교육과정 개정 추진에 대해 역사학계가 공동성명을 내고 ‘역사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절차와 내용 모두 문제가 많다’며 강하게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한국역사연구회, 역사교육연구회, 도시사학회 등 10개 국내 역사학회와 168명의 역사학자들은 2일 ‘2011 역사교육과정 및 집필기준 개악에 대한 역사학계 공동성명서’를 교과부에 제출하고, 이번 고시와 집필기준의 문제점을 조속히 고치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실질적으로 국내 역사학계 대다수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는 이들은 성명서에서 “(교과서 논란은) 교과부의 자의적이고 임의적인 행정 처리 및 정치적 의도에서 비롯됐고, 국사편찬위원회, 역사교육과정추진위원회 등이 연구자들의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최종 결정을 교과부에 넘겼다”며 절차적인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 내용적으로는 △헌법 어디에도 ‘자유민주주의’가 등장하지 않고 △1948년 유엔총회 결의안에서 유엔이 승인한 유일 합법정부가 한반도가 아닌 38도선 이남에 해당하며 △역대 교육과정에서 ‘독재’를 명시한 것은 역사적 진실에 입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인 이인재 연세대 교수는 “교과부는 독단적으로 결정할 것이 아니라 먼저 역사학계로부터 충분한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교과부는 7일께 중학 역사 교과서 집필기준안을 최종 발표할 계획이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