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획업자들, 거리고양이 불임수술 사업 돈벌이 악용
임신중·새끼까지 ‘마구잡이’…살던곳 방사도 안지켜
임신중·새끼까지 ‘마구잡이’…살던곳 방사도 안지켜
주인 없이 떠돌아다니는 길고양이의 살처분을 막고 도시인들과의 공존을 모색하는 방안 중 하나인 티엔아르(TNR) 사업이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제대로 시행되지 않아, 되레 고양이들이 희생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티엔아르 사업이란 길고양이를 포획(Trap)해 중성화 수술(Neuter)을 한 뒤 원래 살던 곳으로 돌려보내는(Return) 것을 말한다. 국내엔 2002년 도입돼 서울 25개 구와 경기도 과천·의정부, 울산 등에서 시행 중이다.
티엔아르 사업은 길고양이 때문에 민원이 발생하면, 지자체와 위탁계약한 포획업자가 고양이를 데려다 중성화 수술을 한 뒤 방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미 중성화 수술을 받았거나 임신한 고양이, 새끼 고양이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일부 포획업자들이 수익을 올릴 욕심에 이런 규정을 어기고 ‘마구잡이 포획’에 나서 문제가 되고 있다. 티엔아르 사업에 참여한 포획업자들은 고양이 1마리당 10만원가량을 받는다.
서주연(49) 한국고양이보호협회 대표는 “포획업자가 길고양이 관련 민원을 내거나 여러 마리를 잡은 것처럼 서류를 조작하기도 하고, 새끼와 임신한 고양이를 잡는 경우도 많다”며 “지자체가 최저가 낙찰제로 포획업자들을 선정하다 보니 이들이 수익을 맞추려고 고양이를 마구 잡는다”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시 자료를 보면, 2011년 10월 기준 올해 길고양이 포획 목표치를 초과한 곳이 9개구나 된다. 포획 목표 수가 290마리인 용산구는 494마리를, 280마리가 목표인 구로구는 448마리를 붙잡았다.
동물보호단체들은 티엔아르 사업의 주요 원칙인 제자리 방사도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부용 서울시 생활경제과 동물관리팀 주무관은 “길고양이를 싫어하는 민원인의 요구 때문에 제자리 방사 원칙이 지켜지지 못할 때도 있다”고 말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